梅花 그림

 

                          

 

 

Maehwa (Plum Tree) Blossoms

                         by Kim Chang Han


   나는 매화를 2003년부터 그리기 시작했다. 초기엔 잠자리의 사계 겨울잠자리와 매화를 같은 화면에 그렸고, 2007년부터 독립된 매화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다. 

 

 

  매화 그림은 단순히 시각적인 아름다움뿐만 아니라 군자(君子)의 절제된 정신세계와 한국적 정서가 담겨있다.

늦겨울~초봄, 선홍빛으로 꿈틀거리는 홍매의 꽃망울이 하나 둘 터져 나올 때부터 하늘과 땅을 꽃잎으로 수놓을 때까지 순환(循環)하는 자연의 아름다움과 삶의 윤회(輪回)에 대한 경이로움, 그리고 찬란한 생명의 환희를 그렸다.

 

 

  고매(古梅) 앞에서면 숙연한 마음과 가슴 뭉클한 전율을 느낀다. 고매 나무의 뒤틀어지면서도 절제되고 자유로운 형태와 나무둥치의 썩고 거친 모습과는 대조적으로 힘차게 쭉쭉 뻗은 가지에서 핀 형용할 수 없는 고운 꽃잎을 보면 험난한 삶의 여정을 견뎌온 아련한 고향의 봄 혹은 어머니의 사랑을 연상케 한다. 그리고 꿈결 같은 고매의 향연에 빠진다.

 

 

  매화작품은 대부분 오래된 사찰(寺刹)에서 그렸는데, 계절적 감각을 살리면서 현장감과 생동감을 강조했다. 작품은 매우 속도감 있게 완성한 것도 있고, 여러 해 동안 연속하여 그린 것도 많다. 즉 주제/대상에 대한 끊임없는 탐구를 통해 작품의 깊이를 더했다.

 

 

  표현기법은 유화로만 그릴 때도 있고, 작품의 배경을 아크릴을 사용하여 담백하면서도 풍부한 물맛과 추상적인 분위기를 강조하면서 매화 꽃/나무는 형상(形像)을 유지하면서 유채의 장점인 마띠에르 효과를 적절히 강조하면서 수채화처럼 싱그럽고 경쾌한 맛을 살려서 그리기도 한다. , 본인의 매화시리즈는 한국의 전통 수묵화와 서양화 표현재료의 장점을 조화시킨 현대적인 방식으로 표현했다.

  - 2025

 

 

 

 

 

 

 

 

 

 

 

 

 

 

 

 

 

  

 

  It was 2003 that I started painting Maehwa.

In the beginning, I painted ‘Dragonfly Seasons Winter Dragonflies’ and Maehwa on the same canvas, and in 2007, I started painting independent Maehwa paintings.

 

  My Maehwa paintings reach beyond the mere aesthetic beauty of the subject, bringing to bear symbolic meaning, especially in the realm of Korea’s emotional disposition: the noble character and strong discipline of the dedicated scholar.

 

  It is easy to imagine the tree and its beautiful flowers as symbolic of struggle and life’s perpetual soldiering on. The act of blossoming is both gentle and forceful. The petal’s delicacy contrasts to gnarled boughs and rough twisted trunks. The Maehwa stretches toward the unreachable sky with an unyielding tenacity.

 

 

  The Maehwa blossom season thrills me. This glorious spectacle fills me with a sobering appreciation. Often, I spend several minutes standing in front of the tree, contemplating its beauty and the emotion it stirs. In addition to the connotations of the soldier’s spirit, the Maehwa touches me personally, reminding me of my hometown in spring. I think of my mother's love when I look at the blossom’s inconceivably graceful form.

  From late winter to early spring, the flower buds struggle to burst forth in profusion, until all of heaven and earth is embroidered with leaves and flower petals! The cyclical beauty of nature, the miraculous perpetual cycle of life, and splendid joy - all are present here.

  The primary setting of The Maehwa Works, the grounds of aged Buddhist temples, nurtures the senses with the savor of the changing seasons, and infuses these paintings with a lively spirituality.

 

  Some of these works were completed in one sitting, while many of them were created over several years. Returning every year afresh to the thematic connotations of the subject has added depth of meaning along with the layers of paint.

 

  Acrylic paint has availed for the expressive technique of rendering the painting’s backdrop, the structural integrity of the Maehwa. Thus, the figure of the tree remains intact while the oil paints are applied. Taking full advantage of both mediums, the material effect is a rhythm with attributes of watercolor in that it is merry and refreshing. So, it can be said that The Maehwa Works enact a harmonious marriage of the positive traits of disparate materials: those traditionally utilized for the painting of a Korean SooMukhwa, and the more modern materials used in Western paintings, which require their own distinct methodology.

 - 2025

 

 

 

 2017, 통도사 성보박물관 기획전, - 매화梅花, '성보聖寶를 물들이다

 

  “2017 Maehwa (Plum Blossoms)” Solo Exhibition at Tongdo-sa Museum

축사-영축총림 통도사 주지 영배

 

 Greetings

- by The Abbot in Tongdo-sa Hwangjeon Yeongbae

  무채색의 세상에 연분홍 색칠이 시작 된다.

얼음장 밑으로 천천히 오는 봄은 까마득히 멀었고, 묵은 한해는 아직도 많이 남았는데 통도사 영각(通度寺 影閣) 앞 오래된 자장홍매는 매서운 혹한 속에서 꽃을 피운다.

  상처 없이 어른이 되고 아픔 없이 깊은 사랑이 움트랴. 옛글에 梅花는 추위를 겪을수록 향기가 곱고 사람은 어려움에 처했을 때 절개가 드러난다고 했던가.

  해마다 겨울 눈밭에 객혈하듯 연분홍 꽃을 피워내는 저 웅숭깊은 고목의 속내를 누군들 알리오마는, 역대 조사스님들의 영각 앞에 혼불 같은 저 꽃잎파리들은 분명 이유가 있어 피었을 것이다.

 

  벌써 십년도 훌쩍 지난 일이 되었다.

어눌해 보이는 몸짓으로 매화나무 아래서 아침 햇살보다 먼저 달려와 저녁 땅거미를 밟고 갔던 그림쟁이 청년이 있었다.

  철 이른 홍매화를 조련하며 해마다 한 두 걸음 빠르게 겨울잠을 깨웠던 김창한 작가의 열정이 꽃을 만들어내었다. 그의 붓 길을 따라 따뜻한 물이 오르고 땅의 훈김이 올라 움츠렸던 가지마다 생기를 얻어 이 세상에 다시없을 화사한 꽃망울을 열리게 하는 마술을 부렸던 것이다.

 

  긴 세월을 하루같이 작품 하는 작가의 모습을 보면 구도자求道者의 자세와 너무나 닮아있다. 인고의 세월이며, 매서운 추위를 몸으로 체득해야만 비로소 열리는 깨달음의 문처럼 그가 그려낸 작품하나 하나도 그의 도의 결실이라 생각한다.

 

  이번 통도사 성보박물관에서 기획전을 여는 것도

기도하는 마음으로 정진처럼 작품에 몰입했던 작가에 대한 보상이며 관람자들에겐 구도자의 고행을 매화가 피기까지 과정을 체득하여 성불하자는 의미는 아닐까싶다.

도를 이루면 저렇게 연분홍 색깔로 휘장을 두른 봄날 핀 매화꽃과 같을까...

 

  청년화가의 귀밑머리에도 어느덧 서리가 내렸다. 하지만 그는 나이를 먹어 갈수록 노쇠는 것이 아니라 작품은 더욱 생동하는 기운을, 용틀임하는 격정을 그의 화폭에다 쏟아놓는다.

용기를 잃어가고 삶의 의미가 무색해지는 우리시대에 던지는 화두처럼 말이다.

 

  끝으로, 佛家에서 전해오는 황벽선사의 매화 예찬 를 인용하며 김창한 작가의 작품전에 축하의 인사를 올린다.

 

  번뇌를 벗어나는 일은 쉬운 일이 아니니

한바탕 고삐를 잡고 힘쓸 일이다.

뼛속까지 사무치는 추위를 견디지 않고서

어찌 코끝을 찌르는 향기를 맡을 수 있을까.

 

  

  Light pink coloring begins in a colorless world.

  Spring, which slowly comes under the ice, is far away, and there is still much of the old year left.

  In front of Yeonggak(a famous building) on the Tongdo-sa Temple grounds, the old Jajang Mae blooms in the bitter cold.

Will (you) become an adult without hurt, and will deep love develop without pain?

In ancient writings, it was said that the colder a flower is, the more fragrant it is, and that when a person is in trouble, his or her ingenuity(integrity, loyalty, fidelity) is revealed.

  Who knows the inner thoughts of that majestic(deep and wide) old tree that blooms light pink flowers like hemoptysis in the winter snow every year?

  

  It's already been more than ten years

There was a young man who was good at painting, who ran from under the Maehwa (Plum Tree Blossoms) before the morning sunlight and walked through the evening dusk, with gestures that seemed clumsy.

Warm water rose along the path of his brush, and the soil rose, giving life to all the shriveled branches, and performing the magic of opening flower buds that would never be seen before in this world.

When you look at the artist who works day after day for a long time, it is very similar to the attitude of a seeker (a seeker after truth).

It is a time of patience, and like the door to enlightenment that can only be opened when one experiences the bitter cold with one's own body, I believe that each work he has drawn is the fruit of his path.

 

  A special exhibition is also being held at the Tongdosa Seongbo Museum.

I think it is a reward for the artist who immersed himself in the work with a prayerful heart, and for the viewers, it means that they can attain Buddhahood by experiencing the process of the seeker's penance until the plum blossoms bloom.

When the Tao is achieved, will it be like the plum blossoms that bloom in spring, adorned with a light pink color...

 

  Frost had already fallen on the hair below the young artist's ears.

However, as he gets older, he does not become senile, but his works pour out more lively energy and passionate passion into his canvases.

  It's like a topic raised in our times when we are losing courage and the meaning of life is becoming meaningless.

 

  Lastly, I would like to offer my congratulations on the exhibition of artist Kim Chang-han's work, quoting Zen Master Hwang Byeok's poem in praise of plum blossoms, which has been passed down through the practice of Buddhism.

It is not easy to escape from troubles.

It's a matter of holding on to the reins and working hard.

Without enduring the bone-chilling cold

How can I smell the scent that pierces my nose...

 

  2022, 김창한 개인전 -

풍경을 통한 내면의 심상전시를 다녀와서,

 

 2022, Review of Kim Chang Han's Exhibition "Inner Image through the Landscape“

 - by 용담사(양산시) 주지, 성보박물관(양산 통도사) 관장 진응

 

 - by The Abbot in Yongdam-sa and Director of Seongbo Museum of Todong-sa Jin Eung

  삼복더위에 개인전을 다녀왔다.

꽃이 귀한 이 여름 매화, 벚꽃, 산수유와 중국계림의 절경도 만나고 왔으니 숨이 막히던 더위가 누그러졌다면 호들갑일까?

  작품 雪中梅(설중매)앞에서 팔을 벌리고 눈을 감으니 오래된 절집으로 春雪(춘설)이 몰려와 흩날리고 이제 막 봄기운을 느낀 매화꽃들은 꽃망울을 열고 暗香(암향)을 추운 大地(대지)로 내뿜기 시작한다.

 

  그가 그리는 매화는 단순한 梅花(매화)가 아니다. 오래 묵고 뒤틀린 고목이다. 거기서 어렵게 추위를 뚫고 꽃을 피워내는 생명의 꽃이다. 그래서 그의 작품에는 생동하는 기운이 느껴진다. 생명의 순환이 그의 작은 매화꽃송이에서 시작된다. 작품이 작가의 감정이 끓어 넘쳐 형성된 것이라면 매화꽃의 결정 에센스다. 그는 매화꽃을 찾는 유랑객이다.

  처음 통도사 영각(通度寺 影閣 Tongdo-sa) 앞의 홍매화를 그리고 나면 낙동강변의 하얀 눈송이 같은 매화, 지리산 화엄사의 붉은 빛에 지쳐 검붉은 흑매(黑梅) Hwaum-sa Heuk Mae (The Dark-red Mae), 이름 모를 산야에 홀로 핀 야매(野梅) Ya Mae (The Wild Mae which blooms in deep mountains and fields)까지 살려낸다.

내딛는 그곳에서 화구를 펼칠 때 비로소 봄이 오고 꽃이 피는 것이다.

작가는 자신을 찾아서 겨울에 피는 매화를 찾아다녔다.

 

  절집에서 꽃을 찾는 다는 것은 자기의 본성(本性)을 찾는 것으로 비유되곤 한다.

김창한 작가는 한반도 남쪽의 봄의 전령사 매화를 시작으로 꽃을 찾아 이제 더 넓은 세상으로 발길을 옮기려고 준비한다. 호주에 피는 자카란다 꽃무더기 ·캐나다·미국·러시아·독일·룩셈부르크·프랑스에 피는 들꽃, 미얀마 호수에 핀 작은 수련까지도 그를 기다리고 있다.

 

  멀고 먼 여행도 결국 내 자신을 찾는 지난한 인생역정인 것을

그는 꽃을 찾아 부단한 걸음을 내 딛을 것이며 색은 더욱 깊어지고

오묘해져서 많은 이에게 행복과 마음의 위안을 줄 것이다.

 

  이전의 작품세계가 자연의 순환을 그렸다면 앞으로는 내면의 마음을 찾는 구도의 여정이 될 것 같다는 느낌도 비약은 아니리라.

그의 작품을 감상하며 옛 선사 비구니스님의 오도송(尋春)으로 작품 평을 대신한다.

 

온종일 찾아다녀도 봄은 보이지 않고 산 정상 구름 속을 떠 다녔네.

집으로 돌아와 우연히 매화향기 맡으니 봄은 가지 끝에 무르익어 있었네.

盡日尋春不見春

芒鞵踏遍隴頭雲

歸來笑拈梅花嗅

春在枝頭已十分

 

  그의 작품의 매화와 꽃들은 단순한 꽃이 아니라 작가자신의

마음이라고 본다. 이번 전시를 끝내고 또 멀리 방랑길을 떠난다고 하니

장도壯途에 힘찬 박수를 보낸다.

여러 나라 구름 속을 떠돌다 돌아오면 매화향기 더욱 짙어지리라 기대하면서 ~

 

 

 

   It was on a hot summer day that I went to see the exhibition.

  Am I exaggerating if I say that the summer heat dispersed at the sight of plum blossoms, cherry blossoms, cornus fruit, and mythical landscape of Guilin in China.

As I closed my eyes with my arms wide open in front of the snowy Tongdo-sa plum, I felt spring snow scattering about. Plum blossoms budding in the spring stirred the earth with their delicate fragrance.

 

  He does not paint any old Maehwa, it is an old curled up tree. It is here where a flower of life blooms by fighting off the cold. I can feel a vitalizing energy in works. A cycle of life starts from a small plum blossom. If this painting contains his exploding emotions, then plum blossoms are the pinnacle. He is a wanderer in search of plum blossoms.

 

  Kim is able to capture so many different plum blossoms. He starts by painting red plum blossoms in Tongdo Buddhist Temple, white plum blossoms on the banks of Nakdong river, darkish red plum blossoms in Hwaeom Temple in Jirisan, and wild plum blossoms in a deep mountain range. When he opens a canvas, spring arrives and flowers bloom. He is in search of himself as well as winter plum blossoms.

It is said that to look for a flower in Buddhist temples is a metaphor of search of oneself.

Kim has sought after plum blossoms, also known as a messenger of spring, in the south of the Peninsula. Now he wants to branch out to a wider world.

Jacaranda in Australia, wild flowers of Canada, America, Russia, German, Luxembourg, and France, and even little water lilies of Myanmar are waiting for him.

 

  We go on a long journey away from home in order to find ourselves. He will continue his search of flowers. With each step, the colors will deepen and turn more profound, giving pleasure and consolation to many.

If his previous works dealt with the changes in season, it seems that he has moved on to the journey of finding his inner world.

 

Enlightenment Poem :

Poetry written by a noble monk who has been awakened with the teachings of the Buddha

I search everywhere yet spring is nowhere to be found

I flew amongst the clouds on top of the mountain.

As I return home to smell the scent of plum blossoms

Spring has been ripening on the tip of the branches.

 

  Plum blossoms and other flowers are not just flowers in his paintings. I see them as his heart. He is off to another journey after the exhibition, so I salute all travels. I also hope that he can bring home a stronger scent of plum blossoms after his encounters with the clouds of other count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