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thor |
CH K |
Date |
2006-07-03 15:10:21 |
|
Title |
Korean Fans Getting Over World Cup Fever - 한국의 월드컵 열기 |
|
Now That's World Cup Fever Soccer fans turn out in downtown Seoul to watch the national team's fateful match against Switzerland, which aired at 4a.m. While in Los Angeles, thousands of Koreans also gathered to root for their team, which lost 2-0 and was eliminated from World Cup - Los Angeles Times, June 24, 206
Korean Fans Getting Over World Cup Fever
Crowds have gathered by the thousands at odd hours to watch matches. But with their team out, the controversial fans are giving soccer a rest. By Barbara Demick, Times Staff Writer June 24, 2006
SEOUL — It's 4 a.m. Do you know where your children, or parents, are?
For South Koreans in the last two weeks, chances are that they were out on the streets with their faces painted, wearing headbands with flickering red lights in the shape of devil horns and uttering mystic chants.
This was not some satanic cult, but crazed fans cheering on their World Cup team. The international soccer tournament turned night to day and pretty much everything else upside down here. Despite a time difference with Germany that led to the matches being broadcast at odd hours of the night, a massive outpouring of South Korea's population took to the streets to watch and cheer.
Friday's match against Switzerland was broadcast live at 4 a.m. Saturday in South Korea, where about 1.5 million turned out to watch on huge outdoor screens.
The epicenter for the madness was the plaza in front of Seoul's City Hall, which was transformed into a sea of tiny red lights that extended anemone-like into the side streets. Police estimated the crowd at 700,000.
Throughout Seoul, buses and subways extended their hours to allow the masses to move. Movie theaters opened their doors after midnight, eschewing Hollywood in favor of soccer. Churches held vigils at 3 a.m. so that fans could pray for God, for country and for the soccer team.
Afterward, of course, they switched on the television.
"Psychologically people want to be together," said Samuel Lee, a philosopher and secretary-general of the Korean National Commission for UNESCO. "It is not just patriotic. It is self-affirming. People are saying we are part of the globalized world."
South Korea's team did not make it into the second round, losing, 2-0, to Switzerland, but surely it was among the winners in fan enthusiasm — admittedly an intangible that is not ranked by FIFA. According to the English-language Korea Times, about 7 million Koreans living overseas also watched South Korea's matches at special venues, including thousands who gathered at noon Friday in Los Angeles to watch on large outdoor screens on Wilshire and Olympic boulevards.
"Other countries' fans cheer for the match and the soccer team, but we are cheering for our country," said Lee Ki-young, a 31-year-old Seoul vendor of removable tattoos, displaying arms covered with images of Korean flags.
"This is part of being Korean. That's why I wanted my daughter to be here," said Jo Young-chin, a 30-year-old woman whose baby was strapped to her back.
From the tops of downtown buildings hung photographs of stars such as national team heartthrob Ahn Jung-hwan. Most people wore red T-shirts, the color of the team's fan club, known as the Red Devils, but some young women were more adventurous and draped themselves in scanty halter tops fashioned out of Korean flags.
People beeped car horns and trumpets shaped like soccer balls to the rhythm of the national chant, Dae Han Min Guk, or Republic of Korea. Others carried banners reading simply, Corea. ("We like to spell it with a C so it comes ahead of Japan in the alphabet," explained an architecture student, Lee Hwa-hyun.)
The fans began convening in central Seoul midday Friday and remained until the next morning even as the batteries on their headbands ran out, the red lights fading into the dawn along with the flagging hopes of their team.
When the game finished at 6 a.m., the red-shirted fans were quickly replaced by maintenance men in green uniforms, who whisked away stragglers sitting exhausted on the sidewalks.
Not everybody here will be sorry to see South Korea out of the World Cup. There have been myriad complaints about lost productivity and school truancy. All three of South Korea's matches fell at night and drew huge turnouts.
The soccer mania was such that it inspired a backlash among some cultural critics, who complained that the over-zealousness of the fans had a whiff of totalitarianism about it.
One blogger posted a photo of Nazi symbols superimposed on the South Korean national flag. (The photo was removed after fans complained.) A Korean website, antisoccer.com, displayed photos of soccer fans urinating on the street and engaging in other antisocial behavior.
"Soccer is all about nationalism and populism, but this is just too much," said Kim Won, an activist with a group called Civic Action that put anti-World Cup stickers on benches at bus stops and subways.
South Korea's infatuation with the World Cup took off in 2002 when it and Japan played host to the tournament and the Korean team advanced into the semifinals. But critics say what was a spontaneous fervor four years ago became overly commercialized this time.
Many corporations bought the rights to images of the cheering fans for their advertising.
Advertising at the City Hall plaza was particularly controversial because it was the site of democracy demonstrations in the 1980s.
"It is as though the birthplace of our democracy was bought for cash," Kim said.
As the fans left City Hall this morning, their eyes heavy with fatigue and dejection over the loss, some too expressed a hint of relief that it was over.
"I'm just looking forward to getting some sleep," said 14-year-old Kim Yoon-gyung, who, along with her school friends, was scurrying to avoid a fast-moving green-shirted man with a broom. ======================================= Far From Home, Koreans Cheer for Home Team
Thousands young and old flock to Olympic Boulevard to watch the World Cup match with Switzerland on giant projection televisions. By K. Connie Kang, Times Staff Writer June 24, 2006
Koreans love a spectacle and one another's company, so they came by the thousands to Koreatown to watch Friday's televised World Cup match between South Korea and Switzerland on giant projector screens.
"This is a wonderful day — I am so proud of our team," said Helen Kim, a Koreatown denizen, wearing a red "Go, Korea" T-shirt and matching hat, and squatting on the sidewalk next to VIP Plaza at Olympic Boulevard and Irolo Street.
Next to her sat squirming preschoolers from 1,2,3 Pre-School in Koreatown, who were very much part of the cheering team.
Their faces painted with round shapes of the yin and yang emblem found on the South Korean national flag, the little ones beat their drums and gongs on cue from the leader of the cheerleading group.
Their teacher, Bok Kyung Kim, had brought her 25 3- and 4-year-olds to give them an early education in Korean culture.
Three blocks of Olympic Boulevard between Normandie and Harvard had been cordoned off to accommodate the fans. Some resourceful ones had spread out mats and sat under parasols, enjoying instant noodles as they watched the game.
On Olympic, about two dozen members of the cheerleading team worked on a stage below a projector screen.
"Korea, Korea," they chanted in English, as the throng joined them. At other times, they yelled "Daehan minguk, Daehan minguk" — a formal name for South Korea.
Their chants were followed by the beating on the drums and gongs and dancing under a hot midday sun.
Interspersed between the drumbeats, cheerleaders sang "Arirang," the best-known Korean folk song, and "Aeguk-ka," the South Korean national anthem.
They even managed to repeatedly play the melody of the hymn "God of Grace and God of Glory." They did not recite lyrics, but a phrase from that hymn seemed befitting the occasion: "Grant us wisdom, grant us courage, for the facing of this hour, for the facing of this hour."
Longshoreman Carlos Cordon, who had come from San Pedro on his day off with his 7-year daughter, Madelin, to watch the match, said he had been rooting for the South Koreans because they play with "their heart."
"You love seeing them — and the people in the stands, too," said Cordon, adding that Koreans are a big part of L.A.
"My daughter's first-grade teacher is a Korean. My chiropractor is a Korean. He doesn't speak much English and I don't speak any Korean, but somehow we communicate.
"We have a lot of influence on each other daily," he said. "What other place in the world can you have that?"
Under a tree, half a block from the giant projector screen, Grace Byon sold red T-shirts at $5 apiece.
Business was not as good as she had hoped, the street vendor said. But that didn't bother her. And though the Koreans were crestfallen when Switzerland beat South Korea 2-0, Byon saw a greater meaning to the day.
"To me, the important thing is all of us Koreans being together like this. This is not just about soccer," she said. "This is so special."
================================== '응원은 한국이 우승 후보', LA 타임스 2006-06-25
'확신컨대 FIFA가 응원 랭킹을 매긴다면 한국은 우승 후보 중 하나일 것'.
미국 서부지역 최대 유력지 LA 타임스가 한국의 축구 열기에 대해 '경이로움'을 감추지 못했다. 이 신문은 25일(한국시간) 메인 섹션 1면 사진으로 지난 24일 스위스전 거리응원을 위해 서울광장을 붉게 물들인 사진을 담았다.
미국이 탈락했어도 스포츠 섹션 1면에 사진을 올렸던 LA 타임스였다. 그러나 25일 LA 타임스는 한국 대표팀의 16강 탈락 기사는 스포츠 섹션에 취급했음에도 한국민들의 헌신적 응원은 메인 섹션 1면 전면을 할애에 취급했다. 또 미국 내 한국 동포들의 응원도 로컬 섹션에서 따로 톱 기사로 다뤘다. 즉 (한국 축구팀의 경기력은 별개로 두고) 한국민들의 믿기지 않는 단합심을 사실상 '국제 이슈'로 가치 매긴 셈이다.
이 신문에 따르면 한국 시간 새벽 4시에 열린 한국-스위스전을 보기 위해 서울시청 앞에만 70만 명이 모였다 한다. 아울러 전국적으론 150만 명이 거리로 나왔고 한국 영토 바깥에서도 700만 명의 교포가 스위스전을 시청했다는 추산이다.
또한 LA 타임스는 이 현상의 배경에도 관심을 표했다. 이를 위해 유네스코 한국담당 관리의 "이는 단순한 애국심이 아니라 자기 확신이다. 이를 통해...
===================================== [월드컵 에세이]잘 싸웠다 태극전사들!
경기는 끝났다. 그래, 우리가 졌다. 흔쾌하게 졌다. 이기면 좋겠지만 져도 좋다! 질수 있으니까 게임이다. 억울하지도 미진하지도 않다. 잘 싸웠다 태극전사들! 우리도 잘 했지만 스위스가 우리보다 한수 위였음을 인정한다. 물론 부심이 오프사이드 깃발을 들어올린 걸 보고 이운재 키퍼가 안심하고 앞으로 나왔다가 한점 잃게 됐다고 애석해할 수는 있다. 그러나 그 때문에 진 게 결코 아니란 걸 우린 이미 안다.
오늘 새벽 나 역시 광화문에 있었다. 잠? 잠 같은 건 이미 문제도 아니었다. 붉은 셔츠에 붉은 뿔에 태극기 치마를 입은 아이들은 제자리에 잠깐 잠깐 누워서 토끼잠들을 잤다. 자다말고 하늘로 껑충 뛰어오르고 신나게 꼭지점 댄스들을 춰댔다. 언제 태극기로 저렇게 깜찍한 미니 스커트를 만들었나. 언제 태극기가 저렇게 감각적인 케미솔이 되었나. 우리 역사 그 어느 때 태극기가 저렇게 유쾌하고 신명나는 상징물이 된 적 있나. 억울한 주검을 덮는 용도로 더 자주 사용되던 저 비장한 깃발, 그게 저렇게 귀엽고 패셔너블한 무늬인 줄 월드컵 아니었으면 모를 뻔했다. 뺨에 부벼박은 문신들은 다들 어찌 저토록 사랑스러운가!!
그 치솟음이 우리 팀의 승리만을 위함일까. 아니다. 그냥 넘쳐나는 생명의 용솟음이었다 물론 당연히 우리 팀이 이기기를 원했다. 그렇지만 질 것을 전혀 예상치 않은 것도 아니었다. 진작부터 도박사들은 우리 팀이 질 확률을 65%로 잡질 않았나. 져도 좋았다. 실망도 했겠지만 마음 깊은 낙담일리야 없었다. 축구는 축구일 뿐인 것이다.
이천수가 여러 번 공을 놓쳐도 아무도 그를 야유하지 않았다. 박지성이 웬일인지 별 활약을 못해도 다들 박지성만을 소리 높여 연호했다. 예전의 우린 절대 저러지 않았다. 조금만 실수해도 누구누구 꺼져라!!고 외쳐대곤 했다. 마지막 우리가 스위스에 2대 0으로 진 게 확정된 그 순간, 16강의 꿈이 좌절되었다는 것을 알고 난 그 순간 붉은 악마들은 어젯밤 전체를 통틀어 그 어느 때보다 최고로 소리 높여 <대~한민국!> 을 외쳐댔다. 슬슬 누선 관리가 잘 안되기 시작하는 나, 얼른 콧마루가 시큰해졌다. 져서가 아니었다. 져도 대~한민국이라는 저 아이들을 좀 보아란 말이다.
엊저녁 내가 부른 노래는 모두 예전에는 서럽던 노래들이었다. 그걸 아이들은 신명나게 바꿔 불렀다. 다함께 하늘로 치솟아 오르며 소리높여 합창하던 <진달래꽃>! 그 정한과 슬픔을 비벼놓은 가사가 그렇게 신명을 돋구는 응원가로 변했다는 것은 이제 민족정기가 바뀌었다는 증명이다. 내 젊은 날엔 조소와 저항을 가득 담아 가사를 바꿔 불렀던 <아아 대한민국>! 하늘엔 조각구름 떠있고 강물엔 유람선이 떠있고~를 우린 아무도 글자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았다. 하늘엔 지랄탄이 떠있고 강물에 똥 덩어리 떠있고_로 고쳐 불렀다. ‘원하는 것은 무엇이든 얻을 수 있고~’ 는 당연히 ‘원하는 건 아무 것도 얻을 수 없고’~ 였다.
그렇게 비비꼬면서 가슴속 울분을 풀어야 했다. 그렇게라도 하지 않으면 견딜 수 없었다. 그런데 2006년 우리 아이들은, 내 아들과 딸들은, 진정 글자 그대로 넘치는 격정을 담아 원하는 것은 무엇이든 얻을 수 있고! 라고 소리친다. 아아 대한민국, 아아 우리 조국, 아아~ 영원토록 사랑하리라! 진심으로 그렇게 외쳤다! 사랑해야 할 것을 사랑할 수 있다는 것은 얼마나 큰 축복이냐. 그렇게 수십만이 동시에 입을 모아 내 조국, 내 나라를 사랑한다고 고백하는 것 이상의 환희가 또 어디 있으랴.
나 같은 구세대는(아, 내가 어느새 스스로를 이렇게 말할 시절에 당도해 버렸나) 뒷전에서 그 바뀐 분위기에 감동해 어쩔 수없이 눈물을 찔끔거렸다. 물론 기쁨의 눈물이었다. 그 눈물에 비하면 까짓 월드컵 16강 따위야 제 3한강교의 거대한 다리에 비한 좀벌레의 솜털에 지나지 않는다.
전진하라, 대한민국! 승리하라 대한민국! 영원하리 우리조국! 승리의 나래 펴고 대한민국, 날아올라 대한민국! 하늘높이 우리 조국, 세상의 중심으로~~우리 청년들이 월드컵 16강에 탈락하고 목 놓아 저 노래를 합창하고 있다. 우린 게임에서 졌지만 과정에서 승리했다. 이건 얍삽한 수사가 결코 아니다. 태극기를 손에 들고 해가 훤히 떠오른 후 나는 집으로 돌아왔다. 실망했냐고? 기운이 빠졌냐고? 아니다. 한숨 자고나면 다시 기운 팽배할 것이다. 우린 대~한민국이고 다같이 밤새워 그걸 함께 연호했다. 언제든 이렇게 뭉칠 수 있는데 실망은 무슨 실망! 아쉽다면 다만 다시 모일 날짜가 4년 뒤로 미뤄진다는 것, 오직 그것 뿐이다.
김서령 생활칼럼니스트 psyche325@hanmail.net -동아일보 =================================================== 외신들, 16강진출 못한 태극전사에 “잘 싸웠다”
조선닷컴 internetnews@chosun.com
입력 : 2006.06.24 13:29 26'
16강 진출에 실패했지만 불꽃 투혼을 보여준 태극전사들에게 외신들은 후한 평가를 내렸다고 헤럴드 경제가 보도했다. 24일 신문에 따르면 미국의 USA투데이는 “스위스의 수비가 뛰어났지만 한국도 열심히 맞서 싸웠다”며 “한국은 매 경기 재미있는 축구를 했고 최선을 다해 뛰었다”고 평가했다. 미국의 스포츠전문 채널 ESPN도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 매긴 선수 평점에서 높은 점수를 줬다. 32개국 전체 선수들 가운데 박지성에게 평점 8.3점을 줘 에콰도르의 아구스틴 델가도와 함께 가장 뛰어난 활약을 펼친 선수로 평가했다. 이천수는 8.1점으로 공동 7위, 이운재와 안정환은 8점으로 공동 15위에 올랐다. 반면 한국과 같은 조였던 스위스 프랑스 선수들은 상위 50위권에 단 한 명도 이름을 올리지 못했다. 일본 NHK는 “한국의 결승 토너먼트 진출 실패로 아시아 팀이 모두 1차 리그에서 탈락하게 됐다”고 아쉬워했다. 아사히신문은 인터넷판에서 “결정력 결여로 한국팀의 2대회 연속 16강 진출이 좌절됐다”고 전했다. 교도통신은 “스위스의 수비가 견고했다”면서 “한국은 전반 수비가 느슨한 장면이 있었으며 추가골을 내줬을 때는 결정력이 부족했다”고 논평했다. 미국의 스포츠 전문매체 스포츠일러스트레이티드는 ‘조별 리그에서 인상적인 장면 10가지’중 9번째에 ‘열정과 서울’이라는 항목으로 한국 팬들을 꼽았다. 이 기사를 작성한 요나 프리드먼 기자는 “많은 축구팬을 만났지만 한국 팬들만큼 주위 사람들을 동화시키는 그런 열정은 보지 못했다”고 감탄했다. 또, 로이터통신은 “또다시 몇 차례 논란의 여지가 있는 판정이 스위스를 도왔다”고 보도했다.
|
Gustbook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