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thor k Date 2019-02-08 23:24:15
 Title 매화-중국
무아지경
A Spiritual-Meditative State

내가 매화를 그리는지,
매화가 나를 그리는지.....

매화 스스로 꽃을 피우는지,
내가 매화꽃을 피우는지,
매화가 나를 위해 꽃을 피우는지,
여기가 꿈인지 현실인지....

2019년 봄은 매화와 함께 환상으로 빠져든다.


Is it me drawing Maehwa (Plum Blossoms),
is it Maehwa drawing me....

Is Maehwa blooms itself,
Am I blooms Maehwa,
Does Maehwa blooms for me,
Am I dreaming or not.

I am falling in to fantasy on 2019 Sprng with Maehwa.



Recent Work of Vital Fantasy 매화 최근작품

드디어 역작(力作)완성했다.
이 작품에서 가장 중심된 표현은 기운생동(氣韻生動)이다.
자장매의 신비로운 기품과 기운 그리고 살아 숨쉬는 생명력을 나의 체질로 캔버스에 담았다.
자장매는 살아있는 한국미의 지존(至尊)이다.

I am glad that I finished the big painting of the Snowy Jajang Mae.
It took over one month.
Enjoy with the vibrant energy.

설중매(雪中梅) - 자장매(慈藏梅) Snowy Jajang Mae (Plum Blossoms) 2019, Oil on linen 162.2x227.2cm 150P

Detail of the painting 작품부분


1. This exhibition introduces Kim ChangHan who is the Korean artist who have been drawing Korean spirit with modern art.

2. Both paintins about pure, natural theme which was drawn in Korea and Myanmar.

3. Especially spending lot of time abroad and interacting actively with foreigns withen range of interest and quality of art work.

4. I want to be part of cultural development and widening interaction by increasing Myanmar's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and advertising it to collectors.


1,
이번 전시는 한국인의 정서를 현대적인 미감으로 독창적으로 그려온 김창한 작가의 작품을 소개한다.
2,
김 작가의 한국에서 그린 아름답고 순수한 자연을 중심 테마Theme로 작업한 그림과 미얀마 현지에서 직접 작업한 것들을 함께 전시한다.
3, 특히 김 작가의 해외 여러나라에서 오래세월 동안 현장 작업한 경험과 다양한 국적의 외국인과의 교류는 미술을 통한 보편적이고 상호관심의 폭을 넓히면서 미술의 가치를 높히는데 큰 역할을 했다.
4,
따라서 미얀마 사람들에게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미술 얘호가들에게 적극적으로 알림으로써 상호교류의 폭을 넓히고 문화 발전에 기여하도록 한다.




설중매 현장작업 - 무아지경
Plein Air Painting - A Spiritual-Meditative State with the crowd

내가 매화를 그리는지,
벌들이 매화를 그리는지,
군중群衆이 매화를 그리는지,
늦겨울 매화의 환상으로 빠져든다.

설중매(雪中梅) 대작 마지막 단계 주말 전국에서 수많은 사람들이 몰렸다.
오늘도 현장에서 아침부터 해질 때까지 매화나무 앞에서 열심히 매화 향과 황홀한 색채에 감동하면서 캔버스에 담았다.
최종적으로 끝내기 쉽지 않지만 온종일 보고 또 보면서 매화 속으로 빨려들듯 무아지경이다.

Is it me painting Maehwa (Plum Blossoms),
Is it the bee painting the Maehwa....
Is it the crowd painting the Maehwa....
I am falling in to fantasy of the Snowy Maehwa (Plum Blossoms) in the late of Winter.
Now it is the last stage of the big canvas of the Snowy Maehwa.




무아지경-매화
A Spiritual-Meditative State with the Maehwa (Plum Blossoms)

1, 통도사 홍매시리즈에 이어 백매/청매 시리즈도 작업 중이다.
스님들께서도 많은 관심을 보이는데 그중 소율 스님께서 한 말씀이 긴 여운을 남긴다.
“매화보다 매화를 그리는 작가님 마음이 더 궁금해집니다.”

2, 어제는 작년부터 그리던 자장매 100호를 최종 끝냈는데, 그 그림 바로 앞에서 한참동안 조용히 지켜보던 소녀(유치원생 쯤)가 한 말이 나를 기쁘게 했고, 그 목소리는 천사처럼 들렸다. “아저씨! 매화가 정말 예뻐요!”

3, 수년전부터 통도사 자장매는 1월초부터 피기시작 해서 믿기 어렵겠지만 3월까지도 계속 핀다. 자장매의 절정이 언제인지 많은 사람들이 현장에서 말하는데 대부분 이젠(2월말) 절정이 지났다고 한다. 그러나 나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지금도 절정이다.
어제 찍은 자장매(홍매) 사진을 보듯 아직도 매화 꽃 봉우리들이 황홀하다. 그러나 흩날리는 꽃잎과 찬란하게 꽃을 피운 뒤 시들어가는 매화는 내게 더 강렬하고 오랜 시간 시선을 사로잡는다. 진정한 아름다움 미의 본질은 무엇인지 내게 질문하게 한다.

막 피어난 꽃은 청춘 즉 20~30대라면 시들은 가는 매화는 80~90대라고 할 수 있다.
치열하게 자신의 사명을 다한 노년은 마치 수백년 된 고매가 진한 향을 뿜듯 더 많은 감동을 전해준다. 어쩌면 이런 것 마저 초월한 것이 영원한 아름다움 일수도 있겠다.

자장매를 중심으로 17년째 한국 고매를 통한 기운생동과 깊은 매화 향을 담으려 노력하고 있지만 매화의 본질적인 아름다움을 담기엔 갈 길이 먼 것 같다.



한국의 고매古梅 Maehwa (Plum Blossoms)
- 본인은 2003년부터 전국의 수령이 오래된 유명 매화(통도사 자장매, 김해 와룡매, 양산 야매, 선암사 고매, 화엄사 흑매 등)를 직접 보면서 현장에서 캔버스에 그리고 있다.
- ‘한국의 고매’ 그림은 시각적인 아름다움뿐만 아니라 한국의 전통적인 군자의 정신세계와 현실과 이상세계의 조화로움을 꿈꾸는 삶의 이상향을 그렸다. 표현방식은 전통과 현대적인 방식이 조화를 이루면서 개성적으로 표현했다.

외광파外光派 Plein-Air Painting in Korea and Foreign Lands
- 현장에서 햇빛에 비추어진 살아 숨쉬는 삶의 모습을 그린 것으로 작품은 자연의 모습뿐만 아니라 전통과 현대가 조화를 이루면서 삶의 역동적인 것들이 넘치는 곳을 중심으로 그림의 생명력을 강조했다.
- 작품은 프랑스 유명 명소뿐만 아니라 해외 문화선진국 그리고 한국나라에서 그린 것도 함께 포함한다.

- 전시 기간뿐만 아니라 전시기간 이전에도 프랑스 에펠탑과 프랑스의 명소에서 현장작업을 함으로써 본 전시와 라이프 페인팅 혹은 동시대적이고 독창적인 외광파의 진면모를 널리 홍보한다.


I've been drawing old maehwa, all over the country, at the scene since 2003

"Korean old maehwa" contains not only beauty, but also traditional Novle character and pursuit of harmony with Utipia. It has it's own uniqueness by combining modern form and traditional form.

They emphasize both natural beauty and interaction of tradition and modernity by painting right infront of scene which flourish with dynamic lifeness.

Artwork contains attractions of Paris, Korean and other foreign countries.

By woking right infront of the scene, before and through the exhibition, this exhibition introduces true worth of contemporary 외광파.





Recent Work of Vital Fantasy 매화 최근작품
I proud that I finished the big paintings of the Snowy Maehwa.

설중매(雪中梅) 120호 두 점이 연결된 역작(力作)을 완성했다.
기운생동(氣韻生動)과 매화의 향을 캔버스에 담고 싶었다. 그리고 이번 겨울 이곳에
Recent works and Art activity in 2019
최근작품 및 2019 국내/해외 전시계획

몇 일전 새로 시작한 수양매(능수매) 50호 연작도 색다른 맛이다.
약 3개월간 진행된 통도사 고매 시리즈는 다음 주 중반이면 마무리 된다. 이후 지리산에 그림 그리러 몇일 다녀온 뒤 중국에 전시 갔다 온뒤 4월 24일 유럽으로 작품활동 떠나기 전까지 계속 현장 작업은 이어질 것이다.
이번에 그린 작품들은 8월 울산 개인전 때 소개될 것이다.

2019 국내/해외 전시계획을 남긴다.

Soul travel in 2019
I have many plans to paint and exhibitions in Korea and overseas in this year. Here are the detailed schedule.

1, In Korea – 느루 갤러리 개관 초대전, 3/16~4/15 전남 강진
From March 16 to April 15, I will participate the invited group exhibition at the new open gallery of Neru in the city of Gangjin in Korea.

2, In China - 한중(韓中) 미술작품 교류전, 3/22~25 중국 초원시(연태-산동성) 전람관
주최: 초원시 문화관광국, 문화예술 총연합회
From March 22~25, I will participate the International Exchange Exhibition in China which invited the city of Chowon.

3, In Europe - 유럽 작품활동, 4월말~6월 초 독일~룩셈부르크~프랑스
From the late of April to early of June, I will visit in Germany (Munich) ~ Luxumberg ~ Franc(Paris) ~ to paint.

4, In China - 중국 작품활동, 7월 : 황과수 폭포, 황산/장가계/구이린 중 1곳, 북경, 난닝
In July, I will visit in the national waterfall and mountains in China to paint. Include in Beijing and Nanning.

5, Solo Exhibition in Korea - 울산시/문화재단 후원 개인전, 8월 중순 : 울산문화예술회관(미정)
I will have solo exhibition in August which supported by the Ulsan Arts And Culture Foundation.

6, In China - 한중(韓中) 미술작품 교류전,
10/18~24 : 중국 주중한국문화원(북경) http://c.kocenter.cn/www/index_ko.jsp
From October 18~24, I will participate the International Exchange Exhibition in China.

7, Solo Exhibition in Australia - 호주 초대 개인전
10/17~30 : 바이킹 갤러리(퀸즈랜드 주)
I am invited to have solo exhibition by the Viking Gallery (Tamborine mountain, QLD, Australia) from October 17 to 30.

8, Solo Exhibition in Myanmar – 미얀마 초대 개인전
12/7~14 : 양곤, 가팔리
I am invited to have solo exhibition by the New Treasure Gallery in Yangon from December 7 to 14 and another invited solo exhibition will be held from middle to end of December at Ngapali Art Gallery in Ngapali beach



Hi How have you been?
I had very good time in China.
It was the first time to trip the country with my art but I had many times that I participated group exhibitions. But I couldn’t go there as I was a full time art teacher at a high school of arts. Now I am a full time world artist.

This time, I visited in Yantai and Zhaoyuan.
There is a good news that my chinese were interested my art especially the head of the Ministry of Cultural in the city of Zhaoyuan was very interested my art and he suggested me to have a solo exhibition in the city next year. He wanted to decide the date of my visiting and exhibition. But I couldn’t answer as I have many art plans and I don’t know exactly the blooming season in the city. So I need to check many things to paint there and to have a solo exhibition in the city.

Meanwhile, I am planning to visit Chin in July for four weeks.
Still I couldn’t decide for the visiting place but I hope to visit in the famous mountain area in Hwanggasu waterfall, Hwangsan, Jang Liang’s Tomb and Guirin. Of course I will visit in Beijing and Nanning to meet my Chinese friends.
It will be very exciting plans.
I am waiting the day will come soon.

By the way, may I ask you a question to translate in English and to translate in Chinese in the followings?

1, Thanks a lot for sending me the recent news.
2, I arrived in Korea safely now I am painting again for the blooming blossoms.
And preparing the upcoming group exhibitions in April and preparing the world art tour.
3, So I am very busy but it is a very exciting season with the art.

4, I will prepare to send you my special art-book, pamphlet (catalogue), profile, CD or USB which can see a selected my videos of art.
5, I have many painting and exhibition plans in this year as follow.
Visiting in France, Germany, China, Australia, Myanmar. from the late of April to December.

6, It will be very exciting to meet the Chinese artists in Korea again for the exhibition in Seoul. I will get the airport to see them for guide and will be together.

7, I am very glad meeting with you in the city and you like art very much and the great interesting of my art. I will try so send you more about my recent paintings.

Have a good time.
Best regards.



Go to China 중국으로

Recently, I have been in China a couple of days with my friends to participate the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in Zhaoyuan(Sandong Seong) province in China at the city gallery.
It was a great time visiting in China not only for the art but also the people, food, nature and so on. Most of all, I had a good results that I was invited a solo exhibition by the city/art association. It was happen by accidently announced by the head of the Ministry of Cultural in the city of Zhaoyuan when we having an exhibition reception. It was a big hospitality and warm-hearted message about my art.
Actually the head of the Ministry was interested when I arrive in the city. So he wanted to be a WeChat friends.
There are too much to say about the beautiful China and Chinese but now my time is very limited as I need to concentrate my art from tomorrow morning for the blooming blossoms. Hopefully to post more about the beautiful and friendly country. See you.

몇일간(3/19~25) 중국 산동성(연태/초원시)에 다녀왔다.
한중미술협회 회원으로 한중 작가교류전(초원시 미술관)에 참가하기 위해 갔지만 오래전부터 중국에서 작업하려는 이유가 컷다. 따라서 지금도 개인적으로 중국현지에서 작품활동을 준비 중이며 금년 7월 한 달간 중국에서 본격적인 작업이 시작된다.

이미 중국엔 다른 경로로 여러차례 전시를 했지만 직접 방문은 처음이다.
중국문화/현지인들과 제대로 소통하기 위해 해외 현지에서의 활동은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시간 관계상 일일이 이번에 그곳에서 경험한 일을 이야기 할 수 없음을 아쉽게 생각한다. 내일부터는 다시 붓을 들어야한다.

금번 한중교류전에서 가장 큰 성과는 내 그림에 대한 중국인들의 특별한 관심을 확인한 것이다. 여러 사람들이 있었지만, 그 중 금번 행사의 총 책임자인 우조리(초원시 문화국장)님의 본인의 작품세계에 대한 특별한 관심으로 초원시/미술단체 이름으로 개인전을 열어주겠다면서 오픈식후 열린 만찬 자리에서 발표했고 곧 초청장을 보내겠다고 했다. 아울러 내가 원하는 희망 날짜까지 물었는데, 이것은 매우 뜻밖의 일이었다. 사실 내년에도 여러 지역에서 작품 활동이 예정되어 있기에 바로 답할 수 없었다. 추후 서로 의논하기로 했다.

솔직히 많은 작가들이 한자리에서 모여 전시했기에 작가들의 역량을 제대로 파악하기 어려웠다. 그래서 따로 사귄 현지 작가들의 작품세계를 보면서 수준 높은 예술세계를 볼 수 있었다. 그리고 연태/초원시는 일반적인 중국의 선입견과는 상당한 거리가 있었다. 즉 신도시처럼 도시 전체가 매우 쾌적하고 잘 정비되고 부유해 보였다. 마치 한국의 신도시처럼. 사람들도 매우 친절하고 예술을 일상적으로 사랑하는 모습을 목격할 수 있었다. 그리고 평화롭게 살아가는 안정된 모습도 인상적이었다.
지금도 그곳에서 사귄 친구들과 윗체으로 우정을 나누면서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중국/중국인, 예술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오래오래 좋은 관계로 발전되기를 희망한다.



중국 자두 꽃 정보
http://www.boredpanda.com/blooming-apricot-valley-yili-china

https://www.chinatouradvisors.com/blog/Travel-to-Delightful-Apricot-Valley-in-Yili-This-April-2099.html?id=2099



작품/작가론 作家論
아래 글은 본인의 최근 개인전을 전후하여 쓴 도병훈 작가의 글이다.
본인은 1983년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과를 입학한 후 곧바로 동 대학원을 1년간 다닌 뒤 군입대 했는데 도병훈 작가는 군대를 일찍 갔다 온 관계로 1학년 때부터 함께 학교를 다녔다.
도병훈 작가는 그림도 잘 그렸지만 글쓰기에 탁월한 재능이 있어서 여러 학회에서 글을 발표했고 지금도 많은 글을 쓰고 있다. 20여 년간 미술교사로 일하면서도 꾸준히 작품활동과 글을 썼으며 미술교과서 집필에도 참여하는 등 그 재능을 널리 인정받고 있다.

아래 글은 2018.03부터 새로운 작가적 전환점에 있는 본인의 작품에 대한 분석과 작가적 삶에 대한 것을 쓰기위한 출발점이다. 즉 단편적인 전시회나 특정 작품에 대한 것을 쓰려고 한 것이 아니라 수십 년간의 작업뿐만 아니라 앞으로 본격적으로 전개된 본인의 작품세계에 대한 심도 깊은 글을 쓰려고 준비 중이다. 글쓰기는 대략 3년간 예상하고 있다. 이 계획과 관련하여 앞으로 본인의 작품활동이 얼마나 전개될지 그리고 얼마나 작업의 성취가 이뤄질지 본인도 알 수 없지만 주어진 삶에 최선을 다할 뿐이다....
작가/작품에 관한 글은 수없이 많지만 제대로 작가의 삶/작품을 오랜기간 접해본 경험 없이 그리고 진지한 이해없이 작가/작품을 말하는 것은 가슴 와 닿지 않는다.



생명의 의지와 마음을 그리는 화가, 김창한의 그림 세계
글쓴이: 도병훈

“저 매화에 물을 주거라.”

매화 사랑이 각별해서 수많은 매화시를 남긴 퇴계(退溪) 이황(李滉,1501~1570)의 유언으로 전하는 말이다. 예로부터 동아시아의 문인 및 예인들은 사군자(四君子)로 꼽힌 매(梅) ∙난(蘭) ∙ 국(菊) ∙ 죽(竹)을 마치 사모하는 연인인양 사랑했다. 군자(君子)란 유교적 이념이 담긴 이상적 인간상으로 역경과 고난 속에서도 절조를 지키는 사람을 뜻한다. 문인이나 예인들이 사군자를 사랑했던 까닭은 추운 날을 견디고 인적이 드문 자연 속에서도 은은한 향기나는 고결한 꽃을 피우거나 늘 푸름을 유지하는 식물이어서 시와 그림의 주요 소재로 삼아 왔기 때문이다. 특히 매화는 ‘모진 추위를 겪을수록 더욱 맑은 향기를 발하고, 사람은 어려움을 겪을수록 그 절개가 드러난다(梅經寒苦發淸香, 人涉艱難顯其節)’는 시구에서 단적으로 드러나듯, 사군자 중에서도 대나무와 함께 즐겨 그린 소재였다. 주1) 지금도 유서 깊은 고택이나 고찰에 가면 오랜 풍상을 견뎌 온 품격 있는 노거수 매화나무를 볼 수 있다.

이 시대에도 매화가 필 무렵이면 어김없이 양산에 위치한 고찰인 통도사를 찾아가 수령 수 백 년 된 홍매인 ‘자장매(慈藏梅)’를 그리는 ‘매화 작가’가 있다. 바로 화가 김창한이다. 그는 2003년 이후 16년 간 한 해도 거르지 않고 자장매 바로 앞에 이젤을 세워 놓고 캔버스에다 유화로 매화를 그려온 작가이다. 이후 작가는 해마다 이른 봄이면 통도사 홍매 현장 사생 뿐만 아니라 낙동강변, 지리산, 선암사, 화엄사 등지에서 매화를 그려왔다.

얼마 전까지 김창한 초대전이 청담동에 위치한 ‘갤러리두’에서 ‘Vital Fantasy 생명의 환희’이란 주제로 개최되었다. 이 전시회에서 그는 그동안 자신이 그려온 매화 작품들과 함께 잠자리, 과수원, 낙엽, 바다 등을 소재로 한 작품을 집약해서 보여주었다. 이처럼 그는 엄청난 열정으로 부단히 그림을 그려 온 다작의 작가로서, 미대 재학 시절부터 줄곧 시류에는 아랑곳하지 않고 풍부하고도 선명한 색채로 특유의 스타일을 보여주는 그림을 그려왔다. 대개 그의 화폭은 주요 공간을 배경삼아 대상과 함께 빛 속에서 얻은 순간의 감각을 표현한 강렬한 색채와 생동하는 선적 필 촉으로 가득 차 있다. 이처럼 작가가 추구하는 회화적 표현은 동서 회화가 공존하는 듯한 양면성, 또는 다층성이 두드러진다.

사군자를 주로 그린 옛 문인들은 현장에서 대상을 사생(寫生)하는 대신 대상의 기운이나 운치로서 인간적 정감을 그렸다. 이른바 사의(寫意), 즉 뜻을 옮긴 그림이다. 옛 문인화가들이 그린 사군자 중의 묵매도(墨梅圖) 역시 실물 대상의 형태를 재현한 그림이 아니다. 이런 맥락에서 사군자를 그린 문인(文人)들은 시인, 묵객(墨客)은 물론 계층으로는 사대부이면서 대개 삶과 자연 그리고 우주에 이르기까지 학문과 사색을 했던 사람들이었다. 성리학 용어로는 ‘관물찰리(觀物察理)’ 라 하는 바, ‘관찰’과 ‘물리’로 읽을 수 있는 이 개념은 사물을 관찰함으로써 그 이치를 꿰뚫고자 한 학문의 핵심을 드러낸다. 주2) 그러나 겸재(謙齋) 정선(鄭敾, 1676~1759)의 진경산수화를 통해서도 알 수 있듯, 전통화가들은 실경을 그린다고 하더라도 현장에서 사생을 하는 경우는 많지 않았다.

그래서 전통회화를 그리는 과정은 실물과 닮아야 하고, 닮음으로써 그 대상의 기호가 되어야 하는 ‘유사(類似)의 원리’를 중시한 것이 아니라 비슷하되 차이가 생겨나는 ‘상사(相似)’의 놀이로 볼 수 있다. ‘묵매’와 ‘묵죽’, 그리고 ‘묵란’이라는 말을 쓰는 데서 알 수 있듯, 그것은 엄연히 실물과 다른 그야말로 먹으로 그린 매화요, 대나무요, 난초이다. 원본이 있으되, 원본이 없는 그림이다. 그래서 화가의 몸과 마음의 상태와 결이 고운 명주나 한지의 재질과 먹의 농담과 붓놀림에 따라서는 섬세한 감수성이나 굳센 기질을 드러내는 수묵화가 그려졌다. 그래서 탁월한 전통 수묵화가 보여주는 묵해(墨海)는 넓고 깊으며, 묵운(墨韻)의 변화는 무한감을 준다. 현재(玄齋) 심사정(沈師正, 1707~1767)의 ‘묵매(墨梅)’와 단원(檀園) 김홍도(金弘道, 1745~1806)의 ‘백매(白梅)’가 다른 이유는 그들의 오감과 필법과 묵법의 구사력, 그림의 바탕 재질 등과 같은 변인 때문이다.

옛 전통회화 중에서도 먹물과 붓질의 미묘한 변주라는 구체적이고 미시적인 세계로 형성되는 사의적 수묵화는 거시 세계인 대자연, 또는 우주를 관통하는 키워드와 다르지 않았으니, 그것은 ‘기(氣)’와 ‘운(韻)’, 즉 기의 리듬이었다. 옛 문인화가들은 늘 변화하는 자연, 즉 ‘물경(物境)’을 ‘정경(情景)’으로 교융(交融)했으며, 이런 문맥에서 산수화와 함께 사의적 수묵화의 주요 화목인 사군자화는 문인들의 감성적 소통 방식이었다. 노장(老莊)과 선종(禪宗)의 언어를 빌리면, 산수화이든 매화도이든, 허(虛)와 실(實)의 변주로써 ‘평담(平淡)’과 ‘천진(天眞)’에 이르는 매개체였던 것이다.(*이와 달리 사군자화가 맥 빠진 동어반복으로 상투적인 필묵 유희로 전락했을 때, 그것은 그저 서투른 속된 그림에 지나지 않았다. 이처럼 우리의 옛 그림도 예술적 성취 면에서는 현대미술과 마찬가지로 그 ‘명’과 ‘암’이 뚜렷하므로 분별해서 볼 필요가 있다)

이번 김창한 전에서 순환하는 사계를 볼 수 있듯, 그의 그림 역시 사계절의 변화에 민감하고 대상을 빌려 마음을 드러내는 것은 전통회화와 일맥상통하나, 현실에 대한 직시와 함께 능동적 의지를 담고자 한다.

자연은 단순히 심미적 감상에 머무는 존재로 파악하기보다는 현실을 직시하고 개선해 나가는 의지를 담는 매개체로 보고자하며, 사람들의 모습에선 현실과 이상의 조화를 꿈꾼다.
- 작가 노트 중에서

이러한 자신의 의지로 작가는 겨울 잠자리를 상상해서 그리거나 매화와 같은 봄꽃으로 자신의 마음, 즉 소망을 표현하고자 했다. 작가는 기나긴 겨울 동안 누구나 바라는 봄을 무수한 꽃봉오리에서 막 개화하기 시작하는, 생명력 넘치는 매화로 표현하고자 한 것이다. 이 글 서두에서 보여준 이황의 특이한(?) 매화 사랑도 결국 봄을 기다리는 마음의 표현이 아니겠는가?

전시된 작가의 매화 그림 중에는 화면 속 조형적 요소인 난무하는 선적 율동과 원색적 색채가 서로 상충하는 듯한 그림도 보인다. 작가는 그런 점에 개의치 않고 그리는 듯하다. 이번 전시는 그림의 소재도 매화에만 국한되지 않으며, 잠자리, 사과 과수원, 바다, 채송화, 달맞이꽃 그림도 볼 수 있다. 소재 불문하고 그의 그림들에서 느껴지는 더욱 독자적인 특성은 표면적인 색채대비보다 생동감 넘치는 필치로 가득 차보이며, 이런 점은 서구적 방식의 유화 그림들과는 확연히 차별화되는 요소이다. 그 그림들은 순간순간의 감각에 충실하고자 한 붓질을 드러내면서도 투명에 가까운 맑음을 견지한다. 이처럼 무수히 덧칠했음에도 마치 현대의 투명 수채화 같은 맑은 기운은 이정(李霆,1541~1622)의 풍죽이나 최북(崔北, 1720~? ), 김홍도나 고송유수관(古松流水館) 이인문(李寅文,1745~1821), 북산(北山) 김수철(金秀哲,?~? )등의 그림에서도 발견할 수 있다. 작가가 르프랑 유화물감을 쓰는 이유도 그림의 투명성에 초점을 두었기 때문이다. 하여튼 주제보다 표현을 중요시하는 태도는 새로운 표현법을 발견한 모든 탁월한 예술가들의 공통점이다. 내가 애쓴 것과 나의 감각적 표현이 이룰 수 있는 예술적 성취는 정비례하지 않는다. 그래서 모든 작가의 길은 늘 절벽 위를 걷는 것에 비유된다.

“화가란 제대로 볼 줄 아는 자여야 한다. 미술을 공부한다는 건, 결국 보는 법을 배우는 것”이란 말이 시사하듯, 모든 그림은 보는 것으로 시작되어 보는 것으로 완성된다. 선사시대 이후 그림은 시대와 지역마다 미학적 관점과 상상력을 확장해왔다. 역사에 자취를 남길 정도의 의미 있는 예술이란 무한한 열정으로 가능한 무수한 도전과 실험으로도 극소수의 작가들만이 성취할 수 있는 차원이며, 감응하기 전은 미지의 영역이라는 것이다. 물론 하나의 그림도, 아니 하나의 점, 단 한 줄의 선도 언제, 누가, 어떻게 그리는가에 따라 무한히 다른 표현이 가능하다. 반면에 이전과 다른 그림을 그리지 못한다면 그것은 그저 그린다는 행위의 반복일 뿐 별다른 의미와 가치를 갖지 못한다. 바로 이 때문에 그림은 가장 쉬우면서도 어쩌면 가장 어려운 행위인 셈이다

작가는 올 3월부터 23년간 몸담았던 교직을 사직하고 전업 작가로 첫발을 뗐다. 이 전시가 끝나면 작가는 파리, 룩셈부르크, 독일로 건너가 전시와 작업을 병행할 예정이다. 이제 작가는 더 이상 물러날 곳도 없는 절체절명의 순간, 그 새로운 출발선에 서 있다.(*모든 작가는 매순간 죽은 후, 매순간 다시 살아야 하는 존재가 아닌가?) 빈센트 반 고흐의 그림 세계도 크게 4시기로 나누는 데서 유추할 수 있듯, 좋은 작가는 끊임없는 변화를 시도한다. 대학 때부터 그의 그림을 지켜보아온 필자로서는 그의 그림이 좀 더 대범해지는 동시에 더욱 세심해짐으로써 더 높은 예술 세계를 구현할 수 있기를 바란다. 위기의 순간도 모든 것이 새롭게 느껴지고 미지의 세계와 소통하는 길을 열어젖히는 계기만 될 수 있다면 일생일대의 중요한 순간이 되듯, 그림을 그리고 감상하거나 해석하는 것은 결국 자신을 생각하면서, 대상이나 세계를 어떻게 감응하는지에 대해 끊임없이 다시 정의하는 실천 행위이기 때문이다.


주1) 매화는 중국 북송(北宋)의 비구니인 화광(華光) 중인(仲仁)이 묵매법을 창안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 땅에서는 고려시대 인물인 정지상(鄭知常, ? ~ 1135)이 매화를 처음 그린 것으로 전한다. 남송(南宋)의 조맹견(趙孟堅,1199~1267)은 소나무, 매화, 대나무를 ‘세한삼우(歲寒三友)’, 또는 ‘삼청(三淸)’, 즉 세 가지 맑은 것이라 함으로써 후세에 이를 주제로 한 시와 그림과 함께 ‘맑음’의 정신을 추구하는 계기가 되었다. 조선 중기에 와서는 어몽룡(魚夢龍,1566~1617)의 매화 그림이 대표적이다. 5만 원 권 지폐의 매화가 바로 그의 그림이다. 그의 묵매도에 대해 당시 문인들은 “눈 속에서도 꽃을 피워 맑은 향기를 세상에 퍼뜨리는 매화의 절개를 강인하고 청신(淸新)하게 표현했다”고 평가했다. 어몽룡의 대표작인 이 <월매(月梅), 국립중앙박물관 소장>는 극적인 대조, 직선과 곡선 이미지를 활용한 시정 넘치는 대비, 하단의 나무 둥치와 수직으로 길게 솟아오른 두 줄기 마들가리의 극적 대비 효과가 탁월하다. 매화와 달을 함께 그린 ‘월매도’는 원래 매초상월(梅梢上月), 즉 ‘나뭇가지 끝의 달’을 그린 것으로, 이는 중국어로 ‘미수상락(眉壽常樂)’, 즉 ‘오래살고 항상 즐겁다’는 사자성어와 동음이어서 그리게 된 것이다. 조선 후기에는 심사정의 <묵매도>와 김홍도의 <백매>가 대표적이며,
두 작품 모두 문기와 함께 감성적인 흥취가 두드러진다. 조선 말기는 우봉(又峰) 조희룡(趙熙龍,1789~1866) 의 <매화서옥도梅花書屋圖>와 고람(古藍) 전기(田琦, 1825-1854)의 <매화초옥도梅花書屋圖>가 알려져 있다. 그리고 오원(吾園) 장승업(張承業,1843~1897)의 병풍을 가득 채운 두 그루 거대한 홍백매화 그림도 특히 두드러진 조형적 요소로 인해 주목할 만하다.
주2)이 말은 송대 문인 소옹(邵雍)의, “무릇 관물(觀物)이라는 것은 눈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마음으로 보는 것이다. 마음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리(理)로 보는 것이다. 천하의 물(物)은 리(理)가 있지 않은 것이 없고, 성(性)이 있지 않은 것이 없으며, 명(命)이 있지 않은 것이 없다.”라는 말에서 유래 한다.






The flowing light, Flying colors. 흐르는 빛처럼 흩날리는 색채
The following fine print, it means:" in the summer of 2013, my family and I travel to jeju island, met with a painter to paint at the beach, put my daughter painted pictures, thus met Mr.Kim Chang Han, I promised to send a picture of myself to write calligraphy to Mr. Kim Chang Han, but have been very busy, my level is not good, until 2014, when the Spring Festival holiday, I didn't have time to practice, to complete the work, gave Mr. Kim Chang Han."
written by one of a Chinese friend



꽃밭에서

"꽃밭에서"라는 노래 가사는 본래 조선 세종 때 이조참판을 지낸 최한경이란 분이 성균관 유생으로 있을 때 지은 시라고 합니다. 어릴 때부터 사모했던 고향의 이웃처자 박소저를 그리워하며 자신의 일생을 기록한 반중일기(泮中日記)에 수록된 작품입니다

<坐中花園(좌중화원)>
○ 坐中花園 (좌중화원) 꽃밭에 앉아서
○ 膽波夭嶪 (담파요업) 꽃잎을 보네
○ 兮兮美色 (혜혜미색) 고운 빛은
○ 云河來矣 (운하래의) 어디에서 왔을까
○ 灼灼基花 (작작기화) 아름다운 꽃이여
○ 河彼矣(하피의) 그리도 농염한지 (아름다운 꽃이여)

○ 斯于吉日 (사우길일) 이렇게 좋은 날에
○ 吉日于斯(길일우사) 이렇게 좋은 날에
○ 君子之來 (군자지래) 그 님이 오신다면
○ 云何之樂 (운하지락) 얼마나 좋을까

○ 臥彼東山 (와피동산) 동산에 누워
○ 望基千(망기천) 하늘을 보네
○ 明兮靑兮 (명혜청혜) 청명한 빛은

○ 云河來矣 (운하래의) 어디에서 왔을까
○ 維靑盈昊 (유청영호) 푸른 하늘이여
○ 河彼藍昊 (하피람의) 풀어 놓은 쪽빛이여
○ 吉日于斯 (길일우사) 이렇게 좋은 날에
○ 斯于吉日 (사우길일) 이렇게 좋은 날에
○ 君子之來 (군자지래) 그 님이 오신다면
○ 美人之歸 (미인지귀) 그 님이 오신다면
○ 云何之喜 (운하지희) 얼마나 좋을까.

"우리네 선조님! 너무나 멋지지 않습니까??!! "








笛子 https://www.youtube.com/watch?v=8B9EFq0oEKY

古__ https://www.youtube.com/watch?v=dtjjJsv4gBo

梅花ppt:http://wenku.baidu.com/view/28988abd700abb68a982fbd9.html

매화-종류다양 https://www.youtube.com/watch?v=Xw7aHEg0LzQ
매화-가야금? https://www.youtube.com/watch?v=gr7sIPLKlJA
매화-고전악기 https://www.youtube.com/watch?v=T5tdS9ItQMM
매화-피리? https://www.youtube.com/watch?v=RaQaP8DuBHY
매화-노래 https://www.youtube.com/watch?v=gBaUZ61Md8s
https://www.youtube.com/watch?v=5mLqiuvss_w


__世名__,梅花그림모음 http://www.360doc.com/content/11/0814/14/112480_140311473.shtml

http://image.baidu.com/i?tn=baiduimage&ct=201326592&lm=-1&cl=2&word=%C3%B7%BB%A8%C3%FB%BB%AD&fr=ala&ori_query=%E6%A2%85%E8%8A%B1%E5%90%8D%E7%94%BB&ala=0&alatpl=sp&pos=0

http://baike.baidu.com/link?url=5hyj2hqRPkE034woWnLjoG1WDFgvoJK-vxwy-6zRS3_B3b_k5eyqCu6W0iI12f-Gn209SXuRWBkqgoIMpLEKEvIf4u6mc6tY19V7r9eRqSC

http://m.movie.naver.com/m/endpage/movie/MultimediaDetail.nhn?movieCode=34532&multimediaId=1568




왕초보 중국어 https://www.youtube.com/watch?v=O0RHpnmnw0o

발음연습 https://www.youtube.com/watch?v=7Bksi-Qn79g

이소룡 동상 1 - 홍콩 성광대도 침사추이http://blog.daum.net/csj2026/913

http://cafe.daum.net/geunhyesarang/OJ5V/10?q=%C0%CC%BC%D2%B7%E6%20%C8%AB%C4%E1%20%B5%BF%BB%F3

이소룡 동상 2 - 중국 광동廣東성 포산 山시 쑨더 구 쥔안 진의이소룡 기념공원 Bruce Lee Paradise 에 자리잡은 이소룡 동상, 18.8m 높이로 이소룡 동상으로는 세계에게 가장 큰 규모다. 이소룡 탄생 70주년(11월27일)을 앞두고 지난 23일 제막식을 가졌다. 2010.11.26.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khlee1959&logNo=220451375984

이소룡 동상 3 – LA 차이나타운
http://cafe.daum.net/teacafe24/kBCP/284?q=%C0%CC%BC%D2%B7%E6%20%B5%BF%BB%F3


중국노래-월량대표아적심-등려군 가사연습
https://www.youtube.com/watch?v=KzfCp-rBZvg

2016 용호동 전시장 온 러시안 인 슬라와 Slava edevsou@mail.ru
일리아 Elia (Ilia) ederson@mail.ru 7996 423 5005

스토리구성 https://www.youtube.com/watch?v=x3k9FJoUfy8

http://cafe.daum.net/hpoong/Qzcq/1325?q=2017%20%B4%EB%C0%D4%C0%FC%C7%FC%20%C7%D0%BB%FD%BA%CE%20%B5%EE%B1%DE%B1%E2%C1%D8

https://www.youtube.com/watch?v=vwNy03cDcGA 문장으로보기
https://www.youtube.com/watch?v=VHM3j-f82WE 화면으로보기
https://www.youtube.com/watch?v=_4nyWfIe4_w 야래향(夜來香)
https://m.youtube.com/watch?v=dsl0EA214n0 이영애


http://fogoislandarts.ca/news/news/call-applications-fogo-island-arts-residency-2018-19/

About > Fogo Island Arts

A residency-based contemporary art venue, Fogo Island Arts provides support for artistic exploration and production for artists, filmmakers, writers, musicians, curators, designers, and thinkers from around the world.

Located off the coast of Newfoundland in Canada, Fogo Island Arts was established in 2008. Artists-in-residence come to the island to do research and selected artists are invited to present their work in exhibitions at the Fogo Island Gallery, which is located in the Fogo Island Inn. Exhibitions are accompanied by publications produced in collaboration with international imprints, including Sternberg Press (Germany) and with public institutions globally. These initiatives are part of a social enterprise-based business model that supports the economic viability of the Fogo Island Inn and the growth of tourism on Fogo Island.

The programs at Fogo Island Arts provide alternatives to more traditional international residencies and public art galleries in North America — in part due to the resourcefulness and creativity of Fogo Islanders, which provides a vital framework for the organization’s activities. Fogo Island Arts places emphasis on creating meaningful partnerships — locally, nationally and internationally. Collaboration enhances knowledge through the sharing of resources, strengthening capacities and stimulating creative thought. By facilitating collaborations between emerging and established artists, curators, scholars and the public at large, Fogo Island Arts is building a growing national and international network of associates that help to support the organization and its programs.

For more information contact: info@fogoislandarts.ca



Rose moss series-1 채송화(菜松花) 두 작품
I am posting the two middle size of the Vital Fantasy Series of the blossom.
The first painting painted in 2015~2016 and the second painting was in this month.
Which one do you prefer and why?.

These paintings reach beyond the mere aesthetic beauty of the subject, bringing to bear symbolic meaning, especially the emotional disposition: the beautiful hometown feeling and my innocent childhood.
When I was painting I got a strong emotional impression and falling in love with the fantasy.

채송화 그림 두 점을 공개합니다.
이번에 그린 것과 작년에 그린 것을 비교해 보았습니다. 비슷한 크기이지만...
여러분은 어떤 그림이 더 좋은지요? 그리고 그 이유는...

채송화는 수줍은 듯 조용히 햇살 따스한 곳에 최대한 땅에 낮게 무리를 지어피면서 화려하면서도 유치하지 않은 색으로 빛나는 광채를 발산하는 것이 겸손하면서 강인한 생명력을 느끼게 합니다.
채송화는 어린 시절 추억을 떠올리게 합니다.
현장에서 그림을 그릴 때는 화려한 색채에 이끌려 환상의 세계로 빠지는데 꽃향기와 풀내음 그리고 벌레들의 합창속으로 천국으로 빠져듭니다.





[매화-중국] - 사진을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를 보실 수 있습니다.


[매화-중국] - 사진을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를 보실 수 있습니다.


[매화-중국] - 사진을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를 보실 수 있습니다.


[매화-중국] - 사진을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를 보실 수 있습니다.
 Gustbook


From Message(required) Passwo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