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thor |
KCH |
Date |
2025-06-08 21:19:43 |
|
|
야외화가 김창한 55회 개인전, 주제: ‘고향의 봄’ 2025,6,24~7,15 (월요일 휴무) 봉화 누정갤러리(정자문화생활관) 초대 주소: 경북 봉화군 봉성면 부랭이길 88, 054-679-6967 (월요일 휴무)
Plein Air Painter KIM CHANG HAN 55th Solo Exhibition by Invitation at Nujeong Gallery (Bonghwa, Korea) June 24 ~ July 15, 2025 Title: Spring in my Hometown
‘고향의 봄’展을 열면서,,,
이번 전시는 캔버스에 유채로 겨울 소백산, 매화, 사과 꽃, 사과나무, 콩밭, 고추밭, 꽃밭 그림을 펼친다. 작품은 대부분 최근 몇 년간 경북 봉화와 영주에서 그렸다. 겨울 산에서 봄의 만개, 가을의 결실까지 이어지는 과정을 보여준다.
봉화는 내 그림의 터전을 이룬 삶의 현장이다. 나는 영주에서 유년시절을 보냈고, 83년 서울로 미술대학교를 가면서 영주를 떠났다. 이후 아버님은 직장을 그만두고 봉화에 사과농사를 지으러 집을 옮겼다. 따라서 약40년 동안 봉화에 자주 방문하면서 자연스레 삶과 자연을 캔버스에 담았다.
금번 전시의 주된 모티브는 자연이다. 작품의 대부분은 야외에서 그렸다. 내 그림의 초창기 주된 내용인 잠자리와 사과 과수원을 소재로 그린 것은 90년 초부터였다. 특히 봄꽃이 피는 시간은 너무나 짧기 때문에 항상 아쉬움을 느꼈다. ‘고향의 봄’展에서 담고자한 것은 자연의 미(美)만은 아니다. 내 마음속 고향에 대한 그리움과 삶에 대한 이상향 담고자 했다.
나는 중학교 때부터 들과 산으로 그림 그리러 다니기 시작했다. 야외에서 그림 그리는 것은 나의 유일한 취미활동이며 휴식시간이었다. 각종 도구를 겹겹이 챙겨서 작열(灼熱)하는 태양 아래 하루 종일 몰두한다는 것이 결코 쉬운 일은 아니지만 어찌 그림 그리는 기쁨과 비교할 수 있을까! 특히, 야외에서 그림 그리는 것은 그림에 생명력과 깊이감을 표현하는데 많은 도움이 된다.
매년 봄이 되면 소백산 아래 영주와 봉화는 꽃들로 장관을 이룬다. 너무나 흔한 것이지만 가만히 보면 어린시절 뒷동산에서 뛰놀던 추억들이 떠올라 마음이 설렌다. 배고픈 어린 시절 진달래꽃을 한껏 따먹으면서 짙푸른 분홍빛에 취해 해가 지는 것도 잊고 하루 종일 뒷동산에서 뛰놀던 그때가 그립다. 이곳은 수천 년 역사를 간직한 대자연의 장엄함과 오묘한 신비스러움을 매년 봄이 되면 찬란한 꽃 잔치를 펼치면서 내 가슴속에 또 다른 마음의 고향으로 다가오고 있다.
이번 전시에 초대해주고 지원해준 관계자 분들께 깊이 감사드린다. 2025, 봄
This is my 55th solo exhibition. In this exhibition, I will be showing about 30 paintings in oils on canvas. Most of these were painted within the recent years in Bonghwa and Yeongju.
Bonghwa is the place where my life and paintings are based. I spent my childhood in Yeongju and left in 1983 when I went to an Art University in Seoul. After that, my father quit his job and moved to Bonghwa to start an Apple farm. So I visited Bonghwa often and naturally put things about life and nature on canvas. As I have been visiting in this beautiful Bonghwa for about forty years has made it the hometown of my heart.
The main motif of this exhibition is Blossoms and Fruiting, including the Sobaeksan Mountain in Winter, Maehwa (Plum Tree) Blossoms, Apple Blossoms, Apple Tree, Bean Farm, Red Pepper Farm and Flower Garden. It shows the process from dormancy in late winter to full bloom in spring and fruiting in fall. Although this seasonal cycle is quite common, it always makes my heart leap with reminiscence of my childhood days on the hillside and mountain which used to be my playground. I long for the time when I was too much absorbed in play to think of the sunset, satisfying my hunger with azalea and being drunk with its dark pink color.
Since childhood, I have often gone out to sketch and paint on hillsides and in fields. Making art outdoors is not only my most fulfilling pastime, from which I derive great rest and rejuvenation, but also one of the research activities through which I can devote myself to my professions as artist and writer. It is never easy to make outdoor excursions with various supplies and equipment, and it can be laborious to be absorbed in painting under a scorching sun for many hours of the day, yet none of these hardships can compromise the joy of rendering natural glory into a piece of art. In particular, painting outdoors helps a lot in adding Vitality (Living feeling) and Depth of the paintings.
Throughout my career, I have usually made nature the major subject of my paintings. Most of my works have involved outdoor sketching and painting. I have painted dragonflies and apple orchards for a long time. During this period, wild flowers occasionally appeared in my paintings. Concerning the brief life of flowers in spring, I have always felt the desire to express some of the feelings that they inspire in me. What I want to incorporate into Spring in my Hometown is not only the beauty of nature, but also a nostalgic sense of a homeplace well-loved, as well as a longing and hunger for natural utopia or Shangri-la.
I would like to say my deepest gratitude to those who invited me to this exhibition. Spring 2025,
========================================= ========================================= 출품 작품 소개 이번 전시엔 약 30점을 출품한다. ‘고향의 봄’을 주제로 주로 그쪽 지역에서 그렸던 그림들이다. The list of the Works I will exhibit 30 works. With the theme of ‘Spring in my hometown’, mostly painted in that region.
Part A 설중매 ? 3점 Maehwa (Plum Tree) Blossoms in the snow
이번 겨울 소백산에 자주 올라갔는데, 그곳에는 눈이 많이 오기에 설중매를 그리기 좋았다. 희방폭포 앞에서도 자주 그림 그렸다. I often climbed Mt. Sobaek this winter. It snowed a lot there, so it was good paint a Snowy Maehwa. I also often painted in front of Heebang Falls.
1, 설중매雪中梅 Maehwa (Plum Tree) Blossoms in the snow, Oil on linen 72.7x116.8cm 50M 2025-aa5 2, 소백산 설경 A Snowy Landscape in Sobaeksan, Oil on linen 53x72.7cm 20P 2025-aa4 3, 설중매雪中梅 Maehwa (Plum Tree) Blossoms in the snow, Oil on linen 72.7x53cm 20P 2025-aa3
Part B 사과 꽃 ? 5점 Apple Blossoms 사과 꽃이 피고 가을의 만추까지, 고향의 정서가 가득한 그림들, Apple Blossoms blooming and until Fall's late autumn, Pictures filled with the emotions of hometown,
1, 사과꽃 Apple Blossoms, Oil on linen 91x116.8cm 50F 2009-cb 2, 사과꽃 Apple Blossoms, Oil on linen 60.6x72.7cm 20F 2023-ca8 3, 사과꽃 Apple Blossoms, Oil on linen 60.6x72.7cm 20F 2023-ca6 4, 사과꽃 Apple Blossoms, Oil on linen 53x72.7cm 20P 2023-ca7 5, 사과꽃 Apple Blossoms, Oil on linen 53x145.4cm 20PX2 2025-aa11,12,
Part C 사과 나무 ? 9점 Apple Tree 나는 청/녹색을 많이 좋아하는데, 속도감과 역동적인 힘과 에너지가 넘치는 그림을 즐겨 그렸다. 이런 표현은 사과나무 뿐만 아니라 다른 그림을 그릴 때도 비슷하다. I like blue/green colors a lot. I enjoy painting pictures that are full of speed, dynamic power, and energy. This expression is similar not only to Apple Trees but also to other paintings.
1, 사과나무 Apple Tree-Vital Fantasy, Oil on linen 130.3x162.2cm 100F 2022-ga9 2, 사과나무 Apple Tree-Vital Fantasy, Oil on linen 130.3x162.2cm 100F 2022-gb1 3, 사과나무 Apple Tree-Vital Fantasy, Oil on linen 145.5x97cm 80P 2022-gb2 4, 사과나무 Apple Tree-Vital Fantasy, Oil on linen 145.5x97cm 80P 2020-ea1 5, 사과나무 Apple Tree-Vital Fantasy, Oil on linen 145.5x97cm 80P 2019-ae3
6, 사과나무 Apple Tree-Vital Fantasy, Oil on linen 90.9x65.1cm 30P 2022-ga5 7, 사과나무 Apple Tree-Vital Fantasy, Oil on linen 90.9x65.1cm 30P 2022-gb5 8, 사과나무 Apple Tree-Vital Fantasy, Oil on linen 60.6x72.7cm 20F 2019-ad9 9, 사과나무 Apple Tree-Vital Fantasy, Oil on linen 45.5x53cm 10F 2014-ea3
Part D 꽃밭 ? 8점 Flower garden 부모님이 계셨던 시골집 앞마당엔 꽃이 많았다. 이 그림은 채송화 꽃인데, 2년 동안 그렸다. There were many flowers in the front yard of my parents’s country home. This is a Rose moss flower which I painted it for two years.
1, 채송화 Rose moss, Oil on linen 80.3x116.8cm 50P 2016-ae7 2, 진달래 Azalea, Oil on linen 65.1x50cm 15P 2020-ca2 3, 진달래 Azalea, Oil on linen 65.1x50cm 15P 2020-ca3
4, 바람 불어 좋은날-접시꽃 Breezing Petals-Hollyhock, Oil on linen 40.9x27.3cm 6P 2021-bh6 5, 바람 불어 좋은날-접시꽃 Breezing Petals-Hollyhock, Oil on linen 40.9x27.3cm 6P 2022-df8 6, 바람불어 좋은날-해바라기 Breezing Petals-Sunflower, Oil on linen, 40.9x31.8cm 6F 2022-fc4 7, 바람불어 좋은날-해바라기 Breezing Petals-Sunflower, Oil on linen, 40.9x27.3cm 6P 2023-ia7 8, 야생화 The wild flower, Oil on linen 27.3x40.9cm 6P 2021-bg8
Part E 콩/고추밭, 벼 ? 3점 이 그림은 콩밭이다. 봉화엔 콩/고추 등 밭농사를 많이 한다. 낙엽이 물든 가운데, 콩도 고추도 벼도 자연과 함께 색이 익어가고, 장엄한 분위기가 너무 좋았다. This picture is of a Bean Farm. There is a lot of field farming In Bonghwa, including soybeans and peppers. As the fallen leaves change color, The Beans, Red Peppers and Rices are also ripen in harmony with nature. I loved the majestic atmosphere.
1, 생명의 환희-콩밭 Vital Fantasy-Bean Farm, Oil on linen 60.6x145.4cm 20Fx2 2024-fa1 2, 생명의 환희-고추밭 Vital Fantasy-Red Pepper Farm, Oil on linen 53x145.4cm 20Px2 2024-fa3 3, 생명의 환희-만추晩秋 Vital Fantasy-Late Autumn, Oil on linen 53x72.7cm 20P 2024-ea10
Part F 자화상 ? 1점 유화그림들 중 가장 오래된, 83년 대학1학년 때 그린 자화상도 1점 함께 전시한다. The oldest oil painting, I will exhibit my Self-portrait oil painting that I painted freshman at Art college in 1983.
자화상 Self portrait, Oil on linen 53x45.5cm 10F 1983
작가약력 1987 :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과 졸업 1991 : 홍익대학교 대학원 서양화과 졸업 2010 : 개인 작품집발간(도서출판BMK-영문/한글) 1991~2024 : 개인전 54회(국내/해외-독일, 미국, 호주, 일본, 룩셈부르크, 미얀마) 2005~2024 : 아트페어/비엔날레/부스전 24회(국내/해외-미국, 일본, 이탈리아) 2005~2019 : 국제교류전/워크샵 기획 6회(국내/호주) 1987~2024 : 단체전 약230회(국내/해외-미국, 중국, 호주, 캐나다, 싱가포르, 미얀마) 1995~2017 : 울산예술고등학교 미술과 교사 현재 : 전업 작가
작품소장 국내: 울산시립미술관, 영담한지미술관, 전직대통령, 울산시청, 울산시교육청, 롯데호텔, 통도사, 현대예술관(현대중공업), 울산문화예술회관, SMS Korea, Actiontech Co., Ltd., 울산시교육청 외국어교육원, 주)한국타이베이 대표부 부산사무처, 등 국내 소장 다수 국외: 호주, 미국, 독일, 이탈리아 공공/개인소장 다수 웹사이트 : www.kch.pe.kr 유튜브 : 야외화가 김창한, @KimChangHan 페이스북 : www.facebook.com/changhan.kim.370 휴대폰: 010-6591-3338 이메일 : changhan64@hanmail.net kchn47@gmail.com
Profile summarized Self Published Art-Book in 2010 Solo Exhibitions 1991~2024 : 54 times (Korea, Germany, U.S.A, Australia, Japan, Luxembourg, Myanmar) Art Fair & Biennale Exhibitions 2005~2024 : 24 times (Korea, U.S.A, Japan, Italy) Director of the International Exchange Exhibitions / Workshops 2005~2019 : 6 times (Korea, Australia) Group Exhibitions 1987~2024 : About 230 times (Korea, U.S.A, Australia, Japan, Canada, China, Singapore, Myanmar)
Contact Website : www.kch.pe.kr YouTube : Painter Kim Chang Han, @KimChangHan Facebook : www.facebook.com/changhan.kim.370 E-mail : changhan64@hanmail.net kchn47@gmail.com
‘누정전시관’ 소개 주소: 누정갤러리(정자문화생활관) : 경북 봉화군 봉성면 부랭이길 88 054-679-6967 (월요일 휴무)
금번 전시가 열리는 ‘누정갤러리’는 ‘누정전시관’ 시설 중 한곳으로 이곳은 국내 유일 누각과 정자에 관한 모든 것이 체계적으로 전시되어 있다. 봉화에는 100개가 넘는 누정이 남아있다. 전통 누정의 가치와 소중한 문화유산을 체험할 수 있는 곳이다.
‘정자문화생활관’은 누정전시관과 한 울타리에 있다. 누각과 정자를 테마로 한 관광지로, 숙박시설, 특히 누정오경과 함께 누정문화를 직접 체험할 수 있다. 활관 내 누정 전시관, 야외 정자 정원, 누정 쉼터와 마당도 이용할 수 있다. 인근에 산림욕장과 다덕약수터, 자연휴양림 등이 있다.
ps, The major focus of my YouTube channel is on my art/work activities. 1. As a Plein Air Painter, Outdoor Painter, my goal is to develop my works of Art 2, To capture the vivid experiences of my country and abroad in the video, 3. To include interesting life style, especially focusing on healthy living.
Lastly, the goal of my YouTube is fun~useful~sustainable~growth. For more details about my 40 years of work world, please welcome on my personal website, and if you have any further questions, please contact me by email in the upper address Thanks a lot.
고향의 봄, 개인전, 유화, 사과 꽃 그림, 봄 꽃 그림, 사과나무, 겨울풍경, 매화그림. 현장화가, 역동적인 현장그림, 세계미술여행, 영혼의 여행을 그리는 화가, 한국의 미, 한국 현대미술, 건강한 삶의 이야기 Spring in my hometown, Solo Exhibition, Painting in Spring, Apple Tree Blossoms in the Spring, Plein Air Painter, Dynamic Plein Air Painting, Outdoor Painting, Oil Painting, Soul Travel Painter, Human adventurous life story, Korean beauty
출품 작품 Part A 설중매 3점 1, 설중매雪中梅 Maehwa (Plum Tree) Blossoms in the snow, Oil on linen 72.7x116.8cm 50M 2025-aa5 2, 소백산 설경 A Snowy Landscape in Sobaeksan, Oil on linen 53x72.7cm 20P 2025-aa4 3, 설중매雪中梅 Maehwa (Plum Tree) Blossoms in the snow, Oil on linen 72.7x53cm 20P 2025-aa3
Part B 사과 꽃 ? 5점 1, 사과꽃 Apple Blossoms, Oil on linen 91x116.8cm 50F 2009-cb 2, 사과꽃 Apple Blossoms, Oil on linen 60.6x72.7cm 20F 2023-ca8 3, 사과꽃 Apple Blossoms, Oil on linen 60.6x72.7cm 20F 2023-ca6 4, 사과꽃 Apple Blossoms, Oil on linen 53x72.7cm 20P 2023-ca7 5, 사과꽃 Apple Blossoms, Oil on linen 53x145.4cm 20PX2 2025-aa11,12,
Part C 사과 나무 ? 9점 1, 사과나무 Apple Tree-Vital Fantasy, Oil on linen 130.3x162.2cm 100F 2022-ga9 2, 사과나무 Apple Tree-Vital Fantasy, Oil on linen 130.3x162.2cm 100F 2022-gb1 3, 사과나무 Apple Tree-Vital Fantasy, Oil on linen 145.5x97cm 80P 2022-gb2 4, 사과나무 Apple Tree-Vital Fantasy, Oil on linen 145.5x97cm 80P 2020-ea1 5, 사과나무 Apple Tree-Vital Fantasy, Oil on linen 145.5x97cm 80P 2019-ae3
6, 사과나무 Apple Tree-Vital Fantasy, Oil on linen 90.9x65.1cm 30P 2022-ga5 7, 사과나무 Apple Tree-Vital Fantasy, Oil on linen 90.9x65.1cm 30P 2022-gb5 8, 사과나무 Apple Tree-Vital Fantasy, Oil on linen 60.6x72.7cm 20F 2019-ad9 9, 사과나무 Apple Tree-Vital Fantasy, Oil on linen 45.5x53cm 10F 2014-ea3
Part D 꽃밭 ? 8점 1, 채송화 Rose moss, Oil on linen 80.3x116.8cm 50P 2016-ae7 2, 진달래 Azalea, Oil on linen 65.1x50cm 15P 2020-ca2 3, 진달래 Azalea, Oil on linen 65.1x50cm 15P 2020-ca3 4, 바람 불어 좋은날-접시꽃 Breezing Petals-Hollyhock, Oil on linen 40.9x27.3cm 6P 2021-bh6 5, 바람 불어 좋은날-접시꽃 Breezing Petals-Hollyhock, Oil on linen 40.9x27.3cm 6P 2022-df8 6, 바람불어 좋은날-해바라기 Breezing Petals-Sunflower, Oil on linen, 40.9x31.8cm 6F 2022-fc4 7, 바람불어 좋은날-해바라기 Breezing Petals-Sunflower, Oil on linen, 40.9x27.3cm 6P 2023-ia7 8, 야생화 The wild flower, Oil on linen 27.3x40.9cm 6P 2021-bg8
Part E 콩/고추밭, 벼 ? 3점 1, 생명의 환희-콩밭 Vital Fantasy-Bean Farm, Oil on linen 60.6x145.4cm 20Fx2 2024-fa1 2, 생명의 환희-고추밭 Vital Fantasy-Red Pepper Farm, Oil on linen 53x145.4cm 20Px2 2024-fa3 3, 생명의 환희-만추晩秋 Vital Fantasy-Late Autumn, Oil on linen 53x72.7cm 20P 2024-ea10
Part F 자화상 ? 1점 자화상 Self portrait, Oil on linen 53x45.5cm 10F 1983
================================================================ ================================================================
Part-A,
친애하는 중국 친구에게, 그동안 잘 지냈는지 궁금합니다. 자주 소식 보내고 싶었지만... 늘 마음속에 품고만 있었습니다. Dear Chinese friend, I wonder how you have been. I wanted to send you frequently, but...to my sorry I was very busy. but always kept in my mind about you and China.
사실 2025년 봄, 중국을 다시 방문하고 싶었지만 여러 가지 사정으로 실행하지 못해 아쉬웠습니다. 하지만 늘 아름다운 중국과 친절한 중국 친구들을 잊지 않고 있습니다. 우리는 다시 반갑게 만날 것이고, 함께 유익한 시간을 보낼 수 있으리라 믿습니다.
In fact, I wanted to visit China again in the spring of 2025, but I regret that I couldn't do it due to various circumstances. However, I will never forget the beautiful China and the kind Chinese friends. I believe that we will meet again and have a fruitful time together.
한국은 약 1주전 새로운 대통령이 선출되었습니다. 직전 대통령은 많은 문제가 있었기에 그는 임기중반에 대통령직을 잃었고 현재 재판 중에 있습니다. 한국의 새 대통령은 열린 마음으로 세상을 대하고 있고, 중국과도 앞으로 더욱 활발한 교류를 희망하고 있기에 앞으로 양국의 교류와 발전은 이전 대통령보다는 훨씬 좋은 모습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시진핑 중국 대통령도 올 가을에 한국에서 열리는 세계 지도자 모임을 계기로 한국에 방문하기를 많은 사람들은 기대하고 있습니다.
South Korea elected a new president about a week ago. The previous president had many problems, so he lost his presidency in the middle of his term and is currently on trial. South Korea's new president is open-minded and hopes for more active exchanges with China in the future, so we expect that exchanges and development between the two countries will be much better than before. Many people are also expecting Chinese President Xi Jinping to visit South Korea this fall on the occasion of the World Leaders' Meeting to be held in South Korea.
저는 금년 상반기에 초대받은 개인 전시가 두 번 있었고, 아트페어에도 참가를 해야 하기 때문에 성공적인 전시회를 준비하느라 매우 바쁘게 보내고 있습니다. I have been very busy preparing for successful exhibitions as I have been invited to two solo exhibitions in the first half of this year and also have to participate in Art Fair in Seoul.
그리고 저의 다양한 작품활동을 비디오 영상으로 제작하는 것을 배우는 것도 새로운 시도로 큰 도움이 되고 있지만 많은 시간을 투자해야 했습니다. And learning to making video of my various art works has been a big help in trying something new, but it has also taken a lot of time.
아쉽지만 대부분의 비디오 영상은 파일 용량이 커서 인터넷으로 중국에 직접 보내기는 어렵고, YouTube에 올려진 영상들이 중국에서는 일반적으로 보기 어려울 것 같습니다. Unfortunately, most video files are too large to be sent directly to China via the Internet, and videos uploaded to YouTube will be generally difficult to view in China.
제작 직접 중국을 방문하면 다양한 원본 영상(Video) 파일을 전달해서 앞으로 저의 작품활동이 중국에서 좀 더 폭넓게 많은 미술애호가 분들과 가까이 할 수 있다면 정말 기쁘겠습니다. If I visit China again, I would be happy that I could show you various original video files so that my future work can be more widely shared with many art lovers in China.
한국에서 각기 다른 도시에서 열리는 두 번의 개인전시가 8월말에 모두 끝나면 중국을 방문할 시간이 가능합니다. 그런데 저의 작품활동은 여러 나라에서도 함께 진행되고 있습니다. 즉, 베트남과 호주 미얀마에도 금년 하반기에 방문을 해야 할 입장입니다. I will have time to visit China after my two solo exhibitions in different cities in Korea in July and August. However, I need to visit some more countries. In other words, I am thinking to visit Vietnam, Australia, and Myanmar in the second half of this year to develop my art.
지금 현재 생각은, 제가 2025년에 중국을 방문할 수 있는 시간은 9월초에서 10월 중순까지가 적당합니다. 따라서 중국을 언제 방문하면 좋을지 선생님의 의견과 입장은 어떠한지도 서로 의논을 한 뒤 적절한 때에 방문하고 싶습니다. As of now, I think that the best time for me to visit China in 2025 would be from early September to mid-October. Therefore, I would like to discuss with you. I need your opinion and position on when it would be best to visit China, and then visit at the appropriate time.
끝으로, 제가 먼저 이렇게 소식을 띄우고, 저의 오랜 중국친구이자 한국에 있는 대학교에서 공부도 했고, 영어도 잘하는 중국인 여성 친구Chen Yeqiuyu (深?市) 가 수일 내로 전화를 할 것이니 그 여성과 상세한 이야기를 나누면 그 친구가 다시 저에게 자세한 이야기를 해 줄 것입니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좀 더 정확한 소통과 서로의 입장을 많이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Lastly, I will send this message first, and my good Chinese friend, a Chinese woman who studied at a university in Korea and speaks English well, will call me within a few days. I will talk to her in detail, and then she will tell me more. The reason for doing this is that I think it will help our communicate more accurately and understand each other's positions.
Part-B,
방금 보낸 ‘Part-A’ 글은 중국의 두 곳으로 똑 같이 보냈습니다. 즉, 첫 번째 보낸 곳은 산동성 초원시招?市에서 미술관을 갖고 있는 중국인과 그의 형 입니다. 그리고 두 번째는 같은 도시에 살고 있지만 이전에 초원시 문화당당으로 일 일했던 분입니다. 그런데, 양쪽은 미묘한 입장 차이가 있기에 양쪽의 입장과 이야기를 잘 살펴보아야 합니다. The ‘Part-A’ text I just sent was sent to two persons in China. In other words, the first sender was a Chinese man and his older brother who own an art gallery in Zhaoyuan招?市 City, Shandong Province. And the second man who lives in the same city but previously worked as a cultural manager in Zhaoyuan City. However, since there will be a little differences in the positions of both sides, so you need to carefully listen the positions and mind of both sides.
제가 처음 중국을 방문하고 또 작년 가을 중국에 방문한 것은 초원시 문화담당을 했던 분의 역할과 도움이 컷 습니다. 그는 나의 그림을 많이 좋아했기에 나를 중국에서 개인전시를 열 수 있도록 초청장을 보내줬지만 코로나 펜데믹으로 나는 몇 년간 중국을 방문할 수 없어서 그 전시는 취소(?)가 되었습니다. My first visit to China and my visit to China last fall were all thanks to the role and help of the person in charge of culture in Zhaoyuan City. He liked my painting a lot, so he sent me an invitation to held my solo exhibition in China, but due to the Covid pandemic, I couldn't visit China for several years, so the exhibition was canceled(?).
하지만 그는 지금도 나를 좋아하고 나를 위해 중국의 큰 도시 칭다오에 있는 미술관에 저의 전시를 위해 소개하겠다고 했습니다. 그래서 제가 다시 9월이나 10월에 중국을 방문한다면 칭다오에서 먼저 만나서 그곳의 미술관을 방문한 뒤 함께 초원시로 돌아오는 것이 좋을지 아니면 초원시에서 먼저 만나서 함께 칭다오로 이동하는 것이 좋을지 의견을 물어야 합니다. But he still likes me and said he would introduce me to an art gallery in Qingdao city, for my exhibition. So, if I visit China again in September or October, I should ask his opinion whether it would be better to meet in Qingdao first, visit the art museum there, and then return to Zhaoyuan City together, or whether it would be better to meet in Zhaoyuan City first and then move to Qingdao together.
그리고, 초원시에서 미술관을 갖고 있는 분한테 연락을 할 때는 이분의 형을 먼저 만났고 그 형이 동생한테 저를 소개해 줬기 때문에 두 사람이 함께 저에 대해 생각하고 있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즉, 미술관을 운영하는 동생이 현재 나의 그림을 보관하고 관리하고 있기 때문에 동생과 통화를 나누면서 앞으로 저의 중국에서의 작품활동과 초원시에서의 전시에 관한 의견과 협조를 부탁하는 이야기를 해야 합니다. Also, when contacting a man who owns an art gallery in Zhaoyuan City, you need to remember that both thinking about me because I met his older brother first and he introduced me to his younger brother. In other words, since his younger brother, who owns an art museum, is currently storing and managing my paintings, I would ask you to talk to him on the phone and ask for his opinion and cooperation regarding my future art activities in China and the exhibition in Zhaoyuan and 00City.
그런데, 초원시 문화담당을 했던 분과 현재 초원시에서 미술관을 하는 분의 입장이 비슷하기도 하지만 어떤 부분에서는 생각이 다를 수 도 있기에 조심스럽습니다. 어쨌든 저는 양쪽 분들의 도움이 꼭 필요합니다. 그리고 그분들이 저의 중국에서의 작품활동을 더욱 폭 넓게 확장하고 발전해 갈 수 있도록 서로 이해하고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However, I am cautious because the person who was in charge of culture in Zhaoyuan City and the person who currently owns an art museum in Zhaoyuan City may have similar positions, but their thoughts may differ in some areas. Anyway, I really need help from both people. And I hope that they will understand and help each other so that I can further expand and develop my artistic activities in China.
따라서 제가 오늘 먼저 ‘Part-A’ 글을 양쪽에 보내겠으니 내일이나 모레쯤 편한 시간에 양쪽에 전화를 직접 해서 유익한 이야기를 나누면 고맙겠습니다. 그럼 잘 부탁합니다.
Therefore, I will send ‘Part-A’ to both parties first today, and I would appreciate it if you could call both parties at a convenient time tomorrow or the day after tomorrow and have a fruitful conversation. Thanks all of your great helping me.
역락처 역락처 Contacts 1, 干兆利우조리(招?市) Before (招?市文化和旅游局) 139-5353-9199 WeChat-wxid_3yfmz5ek8qd822
2-1, Elder artist brother 于挺 전화: 155- WeChat-ID= Yu53589903 2-2, 于波 138 6380 0029 His younger brother who has a gallery. Address?
I think you already contacted with the man 于波 in the late of last year or in the early of this year.
When you send me the message after contact with them, please send me their recent contact information too such as address and email. I just contactd with them via WeChat....
Or not, you can call another woman who is a good Chinese artist friend in the same city also visited at the gallery too last year. 季春霞 ??: 138 6380 8998
===================================== ===================================== Introduction of participating exhibition paintings 전시참가 작품소개
서울 월드아트페어 페스티벌 Seoul World Art Fair Festival 2025,6,17~30 LOTTE MART 엠아트센터(롯데마트 송파점) 서울시 송파구 중대로 80, 2층 www.thegogart.com
마그웨이-Impressions from Afar-Magway, Oil on linen 61x184cm 30Px2 2019-ba9,
해외 미술여행?미얀마 01 World Art Journey?Myanmar 01
‘서울 월드아트페어 페스티벌’ 초대작가로 작품을 출품한다. As an invited artist for the ‘Seoul World Art Fair Festival’, I will be exhibiting two canvases. 아트페어 초대 제안이 왔을 때 어떤 작품을 출품할지 생각했다. When I was invited to an Art Fair, I thought what kind of painting I would exhibit. 나는 주로 자연주의적인 풍경을 즐겨 그리지만 I mostly enjoy painting naturalistic landscapes, 가끔 도시 풍경이나 사람들 삶의 모습도 그린다. but sometimes I also paint cityscapes or scenes of life. 최종 결정한 것은 미얀마에서 그린 작품이다. The work I decided to exhibit is that I painted in Myanmar. 이 작품은 마그웨이(Magway)의 원시적인 야성과 This work captures the primitive wildness of Magway. 인간의 맑고 순수함이 살아있는 곳에서 몇 일 동안 그렸다. I painted for several days in a place where people have pure and innocence.
원시적인 야성 : 그림을 그렸던 곳은 마그웨이 도시 외곽지역이다. Primitive Wildness: The place where the picture was painted is the outskirts of Magway City. 인간의 손길이 닿지 않은 자연그대로의 순수함과 그곳에서 자라는 소떼들, The purity of nature untouched by human hands, the herds of cattle growing there, 그리고 원주민은 도시적인 삶에 익숙한 내 눈에는 너무나 신선하고 강렬했다. and the natives were so fresh and intense to my eyes accustomed to urban life.
신비스런 풀들과 나뭇잎 그리고 땅 색깔은 내 마음을 사로잡아서 The mysterious grasses, leaves, and colors of the earth captivated my heart, 마그웨이에 머무는 동안 대부분의 시간을 이곳에서 그림 그렸다. so I spent most of time painting here during my stay in Magway. 마그웨이는 교육의 도시이다. 6개의 대학교가 있어서 젊은이들이 많다. There are six universities, so there are many young people.
인간의 순수함 : 그곳에서 작업할 때 내 곁을 지나던 수많은 소떼와 소떼를 몰던 청년, Human Purity: When I was painting there, the herds of cattle and the young men who drove them, 가끔씩 지나가는 사람들, 모두가 내게는 극도의 경계대상이었다. and the occasional people passing by, were all extremely wary of me. 낯선 이방인으로 거의 의사소통의 되지 않는 상태에서, As strangers, with little communication, 그리고 언제 야생동물/뱀/독벌레가 나타날지 모르는 위험 상황으로 and in a dangerous situation where wild animals/snakes/poisonous insects might appear at any moment, 온종일 팽팽한 긴장감이 감돌았다. There was a tense atmosphere all day long.
그러한 와중에 주변에 사는 원주민 부부가 다가왔다. In the meantime, a native couple approached me. 그들은 내가 뜨거운 뙤약볕에서 작업하는 모습을 보고 그늘 막을 설치했다. They set up a shade shelter when they saw me working in the hot, scorching sun. 그리고 내가 목마를까봐 마실 것을 줬다. They gave me something to drink in case I got thirsty. 그리고 배 고플까봐 잡곡밥과 삶은 땅콩도 줬다. They also gave me mixed grain rice and boiled peanuts. 처음 그들을 극도의 경계심으로 대했던 때와는 달리 그들의 환대에 감동했다. Unlike when I first treated them with extreme caution, I was touched by their hospitality. 몇 일간 작업을 마치고 마그웨이를 떠날 때 이 분들께 특별히 감사의 인사를 하고 싶었는데, When I left Magway after painting for a few days, I wanted to say my special gratitude to them, 돌아갈 때는 정반대 길 이었기에 감사의 인사도 하지 못한 무거운 마음이 지금까지 남아있다.I still have a heavy heart because I couldn't even say thank them because I went the opposite way when I returned. 마그웨이를 다시 방문한다면 제일먼저 이분들을 찾고 싶다. If I visit Magway again, the first thing I want to do is find these people.
2018, 2019 미얀마를 두차례 방문하면서 During my two visits to Myanmar in 2018 and 2019, 미얀마 여러 지역에서 현지 작가들과 함께 그림 그렸다. I interacted with local artists in various regions and painted together. 이후에도 계속 방문하려 했지만 미얀마 내전과 코로나 펜데믹 I tried to visit again, but the national troubling by the army in Myanmar, the Covid-19 pandemic, 그리고 2025년 대규모 지진으로 안타까운 세월이 지나고 있다. and the big earthquake last year have made the years go by regrettably. 그러나 지금도 그리운 미얀마 친구들과 계속 교류하고 있다. However, I still continue to keep in touch with my Myanmar friends whom I miss. 미얀마는 내게 세상을 보는 눈을 더 넓게 해 주었고, Myanmar has broadened my perspective on the world, 삶과 예술에 대해 많은 생각을 갖게 했다. and has given me a lot to think about life and art. 그리고 내가 살고있는 대한민국에 대해 많은 것을 비교해본다. And I compare many things about the Republic of Korea where I live. 미얀아에서 작품 활동과 현지 작가들과 교류에 관한 About creative activities and exchanges with local artists in Myanmar 다양한 이야기는 앞으로 단계적으로 영상에 담을 것이다. Various stories will be gradually included in the video in the future.
이 영상은 바간 Bagan을 출발 마그웨이 도시 외곽에 도착했을 때의 신선하고 인상적인 분위기이다. This video captures the fresh and impressive atmosphere when leaving Bagan and arriving at the outskirts of Magway.
미얀마를 여행하면서 본 가장 충격적인 장면이다. This is the most shocking scene I saw while traveling in Myanmar. 사람들이 거의 맨발로 도로공사를 하고 있었다. People were doing road construction almost barefoot. 아스팔트 자갈을 맨손으로 옮기면서, 뜨거운 기름을 사람 손으로 깔고 있었다. They were moving asphalt gravel with their bare hands, and spreading hot oil with their hands. 노동자 대부분은 젊은 여성이었고 가끔 어린 소년/소녀도 보였다. Most of the workers were young women, and sometimes young boys/girls were seen. 당시 이들의 일당은 하루 약 9천원이었다. At that time, their daily wage was about 9,000 won(about 7 USD). 아미 지금 미얀마 실정은 이보다 더 못할 것이다. The current situation in Myanmar must be worse than this.
마그웨이로 가는 장시간 몇 번 차를 멈추고 휴식했다. On the way to Magway, we stopped several times to rest. 점심을 먹으로 갔던 시골집 식당에서 본 모든 것은 충격이었다. Everything I saw at the country restaurant where we went for lunch was shocking. 말로 표현할 수 없는 광경에 내 두 눈을 의심했다. I doubted my eyes at the indescribable sight.
식당엔 종업원(가족)들이 여럿 있었는데, 어찌 이렇게 방치하고 지낼까... There were several employees (family members) in the restaurant, so how could they just leave it like this. 10년 이상 청소하지 않은 듯, 아니 청소/위생의 개념조차 없었다. It seemed like it hadn't been cleaned in over 10 years, or rather, there was no mind of cleaning/hygiene. 그러나 먹어야 살기에 꾸역꾸역 주어진 밥을 깔끔히 다 먹었다. However, I had to eat to live, so I ate all the food that was given to me.
식당에 가득 쌓아둔 거대한 수박이 계속 내 눈길을 끌었다. The huge watermelons in the restaurant kept catching my eyes. 수박은 내가 가장 좋아하는 과일이다. Watermelon is my favorite fruit. 수박 한통이 얼마냐고 질문하니 약1천원(about 0.73 USD)이라 했다. I asked how much a watermelon, they said 1,000 won (about 0.73 USD).
내 귀를 의심했다. 2019년 당시 한국은 저 정도크기 수박은 2~3만원(15~22 USD) 이었다. I doubted my ears. In 2019, a watermelon of that size in Korea cost 20,000-30,000 won (15-22 USD). 어제 시장/마트에서 보았던 수박가격도 2~3만원 이었다. The price of the watermelon I saw at the market/mart yesterday was also 20,000-30,000 won. 수박이 너무 커서 군침만 흘리며 바라보니, 식당주인이 한조각 맛보라고 줬다. The watermelon was so big that I was just looked at it, and the restaurant owner gave me a piece to try. 너무너무 맛있었다. It was so delicious.
마그웨이로 가는 동안 함께 동행 했던 작가 지인 분 집을 잠시 방문했다. While going to Magway, we visited the house of an acquaintance of the artist who accompanied me. 이곳은 그동안 보았던 미얀마의 인상과는 전혀 다른 모습에 신선한 충격을 받았다. This place was a fresh shock to me because it was completely different in Myanmar so far. 집 안팎 모든 물건은 가지런히 정리되어 있었고 깨끗했다. Everything inside and outside the house was neatly organized and clean.
손님을 위해 내놓은 음식과 차 등 모든 것은 깔끔하고 위생적이었고 꿀맛이었다. Everything, including the food, tea served for the guests, was neat, sanitary, and delicious. 심지어 지인 작가분과 부인의 외모도 모델 급이었고 깔끔했다. Even the appearance of the artist friend and his wife was model-like and neat. 미얀마에서 천국과 지옥을 모두 보았다. I saw both heaven and hell in Myanmar.
해외 미술여행?미얀마 01 World Art Journey?Myanmar 01 2019-bb5, 마그웨이-Impressions from Afar-Magway, Oil on linen 61x92cm 30P
2025년부터 직접 영상을 제작하고, 유튜브에 업로드하면서 작품활동을 데이터베이스화 하과 활발하게 대중과 소통하고 있다. Since 2025, I has been actively communicating with the public by making videos myself and uploading them to YouTube, creating a database of my creative Art Works.
June 24~July 15, Nujeong Gallery (Bonghwa, Korea) “Invitational” Title: Spring in my Hometown https://youtu.be/7-kb26ruC0c?si=8hrDzSHABw88QpiD
August 19~25 Ulsan Culture &Arts Center Gallery-4 (Ulsan, Korea) Title: Dynamic Ulsan “Sponsored by Ulsan Metropolitan City, Ulsan Culture &Tourism Foundation"
6,24~7,15 누정갤러리(경북 봉화) “초대전” - 제목: 고향의 봄
8,19~25 울산문화예술회관 4전시장(울산) - 제목: 역동의 울산 “후원: 울산광역시/울산문화관광재단
6,17~30 : 서울 월드아트페어페스티벌(롯데마트 엠아트센터, 서울) YouTube: https://youtu.be/YOeZ8dmMjok?si=CPVuQKxwZfaJgLNl
6,23~8/25 : ?(현대백화점, 울산) Uun 23~8/25 : ? (Hyundai Department Store, Ulsan, Korea)
=========================================== ==========================================
전문가용 고급 캔버스란? 캔버스 바탕칠 방법 Professional Canvas? How to paint a canvas background.
================= 어쨌든 캔버스의 고급과 저급의 차이가 무엇인지 정확히 알 필요가 있다. Anyway, we need to know what the difference about Professional Canvas,
그냥 습작용으로 그릴 때는 매우 저렴한 것을 사용할 수 도 있습니다. When you just paint with practice, you can use something very cheap. 그림은 캔버스 표면에만 그리는 것이기에 일반사람들은 잘 몰라요. You only paint on the surface of the canvas, general public don't know about it. 겉으로 멋지게 그린 뒤, 액자를 하고 멋진 곳에 걸어두면 그게 다 인줄 아는데, After painting something nice on the outside, they think that if they frame it and hang it in a nice place, that's all.
캔버스 내면과 뒷면의 상태가 어떠한지 제대로 구분할 필요 있습니다. It is necessary to properly distinguish between the condition of the inside and the back of the canvas. 그 그림의 가치와 보존에 큰 차이가 납니다. It makes a big difference in the value and preservation of the painting. ===========
오늘은 제가 캔버스에 제소를 칠하는데, 물과 2리터 제소를 준비했습니다. I'm going to paint the canvas with Gesso, I've prepared water and a 2-liter Gesso. 이미 전체적으로 제소 칠을 한번 했고, 두 번째 칠하는 중입니다. I've already painted the gesso once and I'm doing the second. 제소는 제품에 따라서 묽기가 다릅니다. The gesso varies in viscosity depending on the product. 물과 제소를 어느 정도씩 혼합할지 감(느낌)으로 판단해야 합니다. You have to judge by feel how much to mix the water and gesso. 제소가 어떤 때는 뻑뻑하고 어떤 때는 묽기 때문에... Sometimes the gesso is thick, sometimes it's thin...
단계적으로 칠을 할수록 제소의 양이 덜 소모됩니다. The more you paint in stages, the less the amount of paint you will use. 이렇게 원액을 넣고 물을 약 20~30% 섞습니다. Pour the original solution like this and mix in about 20~30% of water. 그런데 많이 칠하다보면, 10~30분 지나면 물이 금방 증발됩니다. However, if you paint a lot, the water will dry quickly after 10~30 minutes. 그럴 경우엔 물을 중간 중간 더 섞습니다. In that case, mix in more water in between. 이정도면 알맞게 되었습니다. This is about right.
칠할 때는 윗면뿐만 아니라 옆(두께)면도 함께 칠해야 합니다. When painting, you should paint not only the top but also the thickness. 그래서 처음 칠 할 때 옆면까지 칠한 상태입니다. That's why I painted the side when I first painted. 왜냐하면 캔버스 옆면에도 그림을 보여줄 때도 있으니까. Because sometimes I show the picture on the side of the canvas. 옆면은 1~2번 칠하는데, 앞면은 보통 3번 이상 칠합니다. I paint the side 1-2 times, but I usually paint the front 3 times or more. 그래서 이 위에 바로 유화를 그릴 때도 있지만, So sometimes I paint directly on top of this with Oil paint, 아크릴로 그릴 때도 있고, but sometimes I paint with Acrylics,
유화를 그린다면, 가장 좋은 방법은 제소를 몇 번 칠한 뒤 If I paint with oil paint, the best way is to paint a few times with Gesso, 그 위에 유화물감으로 칠하는 겁니다. and then paint with Oil paint on top.
제소는 금방 건조되지만 유화물감은 완벽히 건조되려면 몇 달 기다려야 합니다. Gesso dries quickly, but the Oil paints take months to dry completely. 완전히 건조되고 표면에 누런 기름이 올라올 때 까지 기다려야 합니다. You have to wait until they are completely dry and a yellowish oil appears on the surface. 칠하는 모습을 잠깐 보여 드리겠습니다. I will show you how to paint. 골고루 전체적으로 칠해야 하고 표면을 잘 봐야 합니다. You have to paint evenly all over and look at the surface carefully.
어떤 부분은 덜 칠한 곳도 있으니 옆에서 보면서 확인해야합니다. There are some areas that are not painted enough, so you have to look at the side. 가로 세로를 반복해서 칠해야 합니다. You have to paint horizontally and vertically repeatedly.
농담 조절이 물과 제소를 어느 정도씩 할 것인지 설명이 어렵습니다. It is difficult to explain how much of the water and the Gesso. 처음에 제소를 물과 혼합 할 때는 물을 약 20%로 하지만, When mixing the Gesso with water at first, the water is about 20%, 제소를 칠하면서, 캔버스가 많을 경우 시간이 걸리기에 물이 금방 증발합니다. When applying the Gesso, if there is a lot of canvas, it takes time, so the water dry quickly. 그때마다 물을 조금씩 첨가해야하는데, You have to add water little by little each time, 첨가량을 어느 정도 할지는 제소의 묽기에 따라 다르고, and the amount to be added depends on the thinness of the Gesso, 칠하는 조건/환경에 따라 다릅니다. and the conditions/environment.
바람이 불거나 온도의 높낮이에 따라 다릅니다. It depends on the wind or the highs and lows of the temperature. 감(느낌)으로 판단할 수밖에 없습니다. You can only judge by feeling. 매끈하게 칠하면서 표면에 골고루 칠해야 합니다. You have to apply it smoothly and evenly on the surface.
분명한 것은 두껍게 한번 칠하는 것보다 얇게 여러 번 칠 하는게 더 좋습니다. It is clear that it is better to paint thinly several times than to paint thickly once. 마치 밧줄이나 끈 등 튼튼한걸 보면 여러 개 가닥으로 역어져 있는 것처럼, Just like when you look at something strong like a rope or string, it is made up of several strands, 바탕의 표면 칠하는 것도 마찬가지 입니다. The same goes for painting the surface of the background. 그래서 그림의 표면효과/여백을 많이 살리는 그림일 경우, So, in the case of a lot of use of the surface effect/margins of the painting, 심할 경우 10번까지도 제소를 칠하는 화가도 있다고 하는데, Some artists paint the Gesso up to 10 times, 저는 그 정도까지는 못 칠해도 6~7번까지는 칠했는데, But I can't do that much, but I applied it 6 or 7 times, 오늘은 3번 칠하려고 합니다. Today, I'm going to apply it 3 times.
보통 야외에서 칠을 하는데 오늘은 태풍이 오려고 바람이 심해 실내에서 합니다. I usually paint outdoors, but today, because the wind is strong, I'm doing it indoors. 밖에서 햇볕이 있을 때 칠하면 금방 건조되는데... If I paint outdoors when there's sunlight, it dries quickly... 안에서 칠하면 실내가 지저분할 것 같아서... If I paint inside, it'll be messy...
제가 조금 전 밑칠 한 것은 알루미늄 캔버스입니다. I just did is an Aluminum canvas. 국내에서 알루미늄 캔버스가 개발된 것은 불과 몇 년 전입니다. It was only a few years ago that Aluminum canvas was developed in Korea. 일반적으로 알루미늄 캔버스가 가장 가격이 비쌉니다. (100호 이상은 알루미늄이 더 싸다.) Generally Aluminum canvas is very expensive. (Aluminum is cheaper for a big sizes) 알루미늄 틀에 아사 천을 씌운 겁니다. This is an Aluminum frame covered with a linen cloth. 그 다음 단계가 전문가들이 사용하는 스기목(삼나무, 삼목) 나무틀입니다. The next step is the most popular ‘Cryptomeria japonica’ wooden frame used by professionals. 그런데 이 두 가지의 차이는 But the difference between these two is
나무틀은 제조과정에서 나무의 독성분이 완전히 빠지면 문제가 적지만, Wooden frames have fewer problems if the toxic components of the wood are completely removed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그러하지 못할 경우 나무틀 주변 캔버스 앞면에 누렇게 색이 나타납니다. but if that doesn't happen, the front of the canvas around the wooden frame may will turn yellowish. 시간이 지날수록... As time goes by...
그래서 캔버스의 여백을 많이 두거나 밝은 그림일 경우, So if you leave a lot of space on the canvas or if it's a bright painting, 누렇게 색이 베이면 보기 싫습니다. it's not good to see the yellowish.
이런 현상은 캔버스 뿐만 아니라 This phenomenon doesn't only happen on canvas, 종이에 그린 그림도 액자상태가 좋지 않으면 누런색이 나타나는데.... but also on paintings on paper that are not in good condition with a frame....
어쨌든 이렇게 알루미늄 캔버스의 경우 Anyway, in the case of Aluminum canvases, 나무독성에 대한 염려도 없고, there's no need to worry about wood toxicity, 뒤틀림 현상도 없습니다. and there's no warping.
또 다른 문제는 큰 나무틀일 경우 Another problem is that if it is a large size canvas frame, 큰 캔버스의 옆 두께 부분이 시간이 지나면서 약간씩 휘어지기도 합니다. the side thickness of the large canvas may warp slightly over time. 나무가 숨을 쉬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면 미세한 변형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Because the wood breathes, slight deformation may occur over time. 그래서 알루미늄 캔버스 가격은 비싸지만 이런 장점이 있습니다. That is why Aluminum canvas is expensive, but it has these advantages. 적어도 100년 이상 최소 수십년 이상 내다볼 경우 If you expect it to last at least 100 years or at least several decades, 캔버스 틀의 나무 중 가장 좋은 것은 스기목(삼나무, 삼목)입니다. the best wood for the canvas frame is ‘Cryptomeria japonica’ wood. 뒤틀리지 않고 덜 섞고 견고합니다. It does not warp, is less mixed, and is sturdy. 제가 80년 중반부터 스기목 정식 캔버스를 쓰고 있는데 I have been using this canvas since the mid-80s, 나무가 뒤틀리지 않습니다. The wood does not warp.
그런데 아주 예외적으로 지나친 무리를 줄 경우 뒤틀릴 수 도 있습니다. However, if you apply too much force, it can become warped. 일반적인 경우, 일반적인 보관일 경우 거의 영구적이라 볼 수 있습니다. In general, if you keep it for a long time, it can be considered almost permanent.
캔버스에 밑칠은, 표면의 효과를 좋게 나타내려는 것도 있지만 The undercoat on the canvas is to show the effect of the surface well, 보존에 여러 가지 장점이 있기에 제소 칠을 합니다. but it has various advantages in preservation, so I use the Gesso. 유화를 그린다면 그 위에 유화칠까지 하면 가장 완벽합니다. If you paint with Oil, it is the most perfect if you apply Oil paint on top. 스기목 다음 단계로 쓸 만한 캔버스는 미송 나무입니다. The canvas that is suitable for the next step is pine (Pseudotsuga menziesii).
좀 더 무겁고 약간 뒤틀릴 가능성이 있기에 연결되는 부분에 고정 대를 대기도 합니다.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connecting piece to hold the joint in place, as the canvas is a bit heavier and more to warping. 무게는 스기목이 가장 가볍습니다. The weight of ‘Cryptomeria japonica’ wood is the lightest. 알루미늄과 미송나무 틀은 비슷한 무게입니다. Aluminum and pine frames are similar in weight.
그다음 단계 캔버스를 살펴보면, Next, let's look at the canvas. 나무가 하나가 아니라 중간 중간 짜깁기한 잡목 캔버스 틀입니다. It's not a single tree, but a mixed-wood canvas frame with patches in between. 유럽에 가보니 좀 더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었습니다. When I went to Europe, I could buy it a little cheaper.
제가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에서 그림 그릴 때 현지에서 구입하려고 화방에 가보니 When I was painting in France, Germany,... I went to an art store to buy it locally, 한국보다 평균 2~3배였습니다. 지금은 한국도 많이 비싸졌습니다. It was 2-3 times more expensive than Korea. Now, Korea has become very expensive. 유럽은 예전에도 비쌌습니다. Europe was expensive in the past. 반면에 중국이나 동남아 지역에 가보면 한국의 절반가격도 안됩니다. On the other hand, China or Southeast Asia, it's less than half the price in Korea.
어쨌든 캔버스의 고급과 저급의 차이가 무엇인지 정확히 알 필요가 있다. Anyway, we need to know what the difference about Professional Canvas,
그냥 습작용으로 그릴 때는 매우 저렴한 것을 사용할 수 도 있습니다. When you just paint with practice, you can use something very cheap. 그림은 캔버스 표면에만 그리는 것이기에 일반사람들은 잘 몰라요. You only paint on the surface of the canvas, general public don't know about it. 겉으로 멋지게 그린 뒤, 액자를 하고 멋진 곳에 걸어두면 그게 다 인줄 아는데, After painting something nice on the outside, they think that if they frame it and hang it in a nice place, that's all.
캔버스 내면과 뒷면의 상태가 어떠한지 제대로 구분할 필요 있습니다. It is necessary to properly distinguish between the condition of the inside and the back of the canvas. 그 그림의 가치와 보존에 큰 차이가 납니다. It makes a big difference in the value and preservation of the painting. ===========
이 캔버스는 100호인데, 화면상 구분이 어려울 수 있는데, This canvas is a big size, but it may be difficult to see details on the screen,
제소를 3번 칠한 뒤 유화물감을 칠해서 유화물감이 약간 우러나온 상태입니다. After applying the Gesso 3 times, the Oil paint was applied, so the oil paint came out a little. 이 우러나온 상태로 직접 보거나 만져보면 촉감이 상당히 좋습니다. If you look at or touch it in this state, the texture is quite good. 아주 고급스런 느낌이 듭니다. It feels very luxurious (professional).
여기에 물감을 두껍게 칠하거나 얇게 칠할 수 있는데, You can apply the paint thickly or thinly, 얇게 칠하거나 여백을 많이 남길 경우, If you apply it thinly or leave a lot of space,
원상태 천위에 그린 것과는 비교가 안 될 정도로 차이가 나고, It is incomparably different from the original canvas cloth, 시간이 지날수록 더 큰 차이가 납니다. and the difference becomes even greater as time passes. 이상태가 유화를 그릴 완벽한 상태이지만 매우 번거로운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This state is perfect for painting, but it requires a very cumbersome process. 이렇게 보면 정식 캔버스로 견고하게 해서, Looking at it this way, if you make it solid with a formal wax, 거의 영구적으로 최소 몇 백 년 이상 견딜 겁니다. it will last at least several hundred years, almost permanently.
====================== 캔버스에 제소를 칠한 뒤 유화까지 칠하면 이렇게 보관합니다. After painting the canvas with the Gesso and Oil paint, this is how to store it. 이 선반위에 마치 책꽂이에 책을 정리하듯 합니다. I organize the books on this shelf as if I were arranging them on a bookshelf. 건조시키기 위해 캔버스 하나하나 물감이 달라붙지 않게 간격을 띄웁니다. I space out each canvas to prevent the paint from sticking to each other to dry.
오늘은 새 캔버스에 제소를 칠하고 있지만 필요에 따라 유화물감을 칠하기도 합니다. Today, I am painting the Gesso on a new canvas, but I can also paint with oil paints if necessary. 유화물감은 흰색이나 미색으로 색을 다르게 칠할 수도 있습니다. The oil paints can be painted in different colors, such as white or colors.
그런데 유화물감을 칠할 때는 기름을 섞어 써야 합니다. However, when painting with Oil paints, you need to mix oils. 저는 일반적으로 흰색으로 바탕칠을 많이 하는데, I usually paint with white as the background, 이럴 경우 린시드와 페트롤(테레핀)을 함께 섞어 사용합니다. In this case, I mix Linseed and Petrol (Turpentine) together.
여름엔 6:4, 겨울엔 4:6로 적당히 섞어 사용합니다. In summer, mix 6:4, and in winter, mix 4:6. 중요한 것은 유화물감 색의 농도를 어느 정도로 할 것인가 입니다. The important thing is how thick the oil paint color will be. 이것은 앞서 말한 제소와 물의 농도를 어느 정도 할지와 같습니다. This is similar to the concentration of the Gesson and water I mentioned earlier. 적당히 밑칠하기 좋은 정도로 해야 합니다. It should be suitable thick to be used as a background.
너무 두껍거나 너무 얇거나, 너무 기름이 많으면 안 됩니다. It should not be too thick or too thin, or too oily. 되도록 살짝 얇은게 좋습니다. 어차피 바탕칠 용도이기에... It is better to make it slightly thin. Since it is for background anyway...
이것은 지난번에 칠하고 남은 것인데, This is what's left over from last time I painted. 이렇게 밀봉상태면 몇 년 지나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If it is sealed like this, it can be used for several years. 제가 유화그림을 그릴 때는 주로 릭퀸 기름을 사용합니다. When I paint with Oil, I usually use Liquin (Winsor & Newton) oil.
대학교 다닐 때는 잘 몰랐을 때는 린시드와 테레핀 기름을 유화물감과 섞어 사용했는데, When I was in college, I didn't know much, so I mixed Linseed and Turpentine oil with Oil paint, 문제는 그림이 누렇게 변합니다. The problem is that the painting turns yellowish. 그리고 두껍게 칠할 경우 갈라지는 것에 대한 대책이 없습니다. And there is no way to prevent cracking when applied thickly. 가격은 저렴하긴 하지만.... It is cheap, but..
릭퀸은 특히 야외에서 작업할 때 빨리 그림을 건조시켜야 하거나 Liquin is especially useful when working outdoors, needs to dry quickly, 두껍게 칠해도 갈라지지 않고, 누렇게 색이 변하는 것을 방지합니다. When applying thick layers, it doesn't crack and doesn't turn yellowish.
이러한 경우에도 색을 칠할 때 좀 더 고급스럽게 하려면, In this case, if you want to make it look more luxurious, 뽀삐오일을 사용하면 색의 변화를 좀 더 방지합니다. Use Poppy oil to prevent color change. 가격이 훨씬 비싸긴 하지만 고급스런 효과를 줄 수 있습니다. It is much more expensive, but it can give a luxurious effect.
이 캔버스는 완성상태가 아닌 그리는 과정인데, This canvas is not finished, but is in the process of being painted. 이 그림은 여백을 많이 두고 있는데, This painting has a lot of blank space, 이 여백을 제소만 칠한 상태가 아닌 유화물감까지 칠한 상태인데, This blank space is not just painted with gesso, but also with Oil paints. 이 표면의 느낌이 중요합니다. The feel of this surface is important.
적당히 윤기가 있으면서 가볍게 보이지 않고, 그렇다고 지나치게 광택이 있으면 안 되고, It should be moderately glossy, but not too glossy, 그러니까 필요로 하는 광택/번쩍임/효과에 따라서 so depending on the gloss/shiny/effect you need,
제소로만 칠할지, 유화물감을 어떻게 칠할지 결정할 수 있습니다. You can decide whether to paint with just the paint or how to apply the oil paint. 기름의 양, 색의 양, 물감의 묽기, 채도, 명도, 농도를 종합적으로 구분해야 합니다. You need to comprehensively distinguish the amount of oil, color, the thinness of the paint, the saturation, the brightness, and the density.
어쨌든 이 그림은 완벽한 상태로 1년 전 했던 것인데, Anyway, this painting is in perfect condition, I did it a year ago, 연작그림을 하고 있는데, 이곳에 부분적으로 풍경을 그릴 수도 있고, I'm doing a series of paintings, and I can partially paint a landscape here,
꽃을 그릴 수 있고, 추상적인 효과를 강조할 수 도 있습니다. I can paint flowers, and I can emphasize an abstract effect. 120호 캔버스입니다. It's a 120-size canvas. 캔버스 뒷면을 보면 완벽한 상태입니다. Look at the back of the canvas, it's in perfect condition.
저 그림의 경우 여백이 많기 때문에 Since there's a lot of space in that painting, 바탕 작업의 효과에 신경을 많이 써야 합니다. I have to pay a lot of attention to the effect of the background work. 저 그림은 제소를 4~5번 칠한 뒤 유화물감을 칠하고 오래시간 건조시켰습니다. I painted that painting with 4-5 times of gesso, then applied oil paints and let it dry for a long time.
이 캔버스는 3번째 제소를 칠하고 있는 상태인데, This canvas is in its third times of paint, 제가 둥근 원형 캔버스는 처음 구입했습니다. This is my first round canvas. 실험적으로 사용해보려고..., 10호 정도 크기입니다. I bought it to experiment with..., small middle size canvas. 아주 견고하게 만들었는데, It is very sturdy, 같은 크기의 정식 캔버스 보다 3~4배 비쌉니다. but it costs 3-4 times more than a professional canvas of the same size.
인물 초상화를 가끔 그리는데, 이곳에 인물화를 그리면 멋있을 것 같아 준비했습니다. Sometimes I paint portraits, and I thought it would look great if I paint a portrait here, so I prepared it.
=============================== =============================== 현대판 ‘이몽룡’ 찾습니다…경북 봉화군, 제1회 전국 이몽룡 선발대회 개최 https://v.daum.net/v/20250505093508275
누정전시관’ 과 주변 봉화 추천 ^^
주소: 누정갤러리(정자문화생활관) : 경북 봉화군 봉성면 부랭이길 88 054-679-6967 (월요일 휴무)
1,금번 전시가 열리는 ‘누정갤러리’는 ‘누정전시관’ 시설 중 한곳으로 이곳은 국내 유일 누각과 정자에 관한 모든 것이 체계적으로 전시되어 있다. 봉화에는 100개가 넘는 소중한 문화유산 누정이 남아있다.
2, 봉화 가볼만한 곳 10선 https://jovlysite.com/567
2-1, 청암정과 석천계곡 ? 연못을 품은 전통정자의 멋과 주변산수의 어울림 청암정/석천계곡: 봉화군 봉화읍 유곡리 산 131번지 https://blog.naver.com/ziggu-ziggu/223866076852
2-2, 계서당 종택 ? 고택의 고풍스러움과 멋 선비정신 물야면 가평리
3, 봉화 국립백두대간 수목원 ? 야생화 언덕과 치유의 숲 경북 봉화군 춘양면 춘양로 1501 방문자센터 054-679-1000 휴무: 월요일
관람기 https://hangamja.tistory.com/2216 https://v.daum.net/v/8Nj8eRLKOV
4-1, 다덕 약수터 주변 ? https://blog.naver.com/pm_thegoodtv/223226879300
- 약수식당 (닭 불고기 35, 닭백숙 35, 등) 경북 봉화군 봉성면 지의실길 6 (월, 화 휴무) https://blog.naver.com/muyoatssa/223838359916
- 오복 중화요리 (부추 즙으로 만든 녹색 짜장면 특색) 봉화군 봉성면 다덕로 855 https://blog.naver.com/ami1762/223826959204
- 다덕백숙집(황태구이 정식, 통낚지볶음 정식, 오리, 닭백숙 전문, 해신탕:10만원) : 봉화군 봉성면 진의실길 3, 054-672-8405 https://blog.naver.com/sunnyhappy_day/223691636319
https://blog.naver.com/syw4262/223780192685
4-2, 닭 불고기, 닭백숙 - 예천가든 : 경상북도 봉화군 봉성면 진의실길 4-1 054-672-8911
5, 분천 산타마을 ? 기차타고 눈 구경(겨울)
|
Gustbook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