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thor |
ChangHan |
Date |
2004-07-20 12:16:43 |
|
Title |
in the Eulsukdo Sculpture Park 을숙도 조각공원 |
|
Busan Sculpture Project in Busan Biennale 2004
Click photos below to see enlargements
2004 부산비엔날레, 부산조각프로젝트 위 특별전의 자세한 내용은 메인메뉴 '열린미술실' - 'province지방展' - 'Sculpture Project'을 클릭하면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아래사진을 클릭하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
울산MBC 영상미(美) 특히, <문화/예술특집> - ‘희망의 해오름’ 과 ‘9부작 영남알프스 중 11/23 ’사찰과 소나무‘ 그리고 <굿모닝 새아침입니다> 1/26 ‘화첩기행’-소나무입니다. 저는 한 달간 간절곶과 명선도에서 바다를 주제로(특히 일출) 그림을 그린 사람입니다...... 참고로 저는 울산MBC에 출연한 적이 있는데, ‘울산문화 향’(2008.3-김창한) 이었습니다. 그리고 인터넷 검색하다 본 저의 작업모습도 몇 개 링크합니다. 그럼 수고하세요.
http://cafe.daum.net/cheongam28/AB3z/689?docid=10WY5|AB3z|689|20120124085052&q=%B8%ED%BC%B1%B5%B5%20%C0%CF%C3%E2%20%C8%AD%B0%A1
http://www.cyworld.com/photorier/3385065
http://lkh100424.blog.me/30128243602
영월사이버박물관 http://www.ywmuseum.com
홍경표 http://www.arthong.net
라구나 비치 갤러리... http://www.lagunaart.com http://www.lagunaart.com/Laguna-Beach-Art-Galleries
라구나 비치중에서... http://townleygallery.blogspot.com/2012/10/artist-q-colette-standish.html http://www.watercolorgalleries.com
http://www.gallery104.com/
http://www.visitcalifornia.co.kr/theme/sports/recreation/beach
Huntington City Beach http://surfcityusa.com 라구나 비치 Laguna Beach http://www.lagunabeachinfo.com
======================================== 예술가의 십계명 - 거울을 들여다보라. - 창밖을 내다보라. - 일을 하라. - 시너지(상승 작용)를 보라. - 불안감을 살펴라. - 곡예의 대가가 되어라. - 존재의 마술을 익히라. - 관계를 맺어라. - 삶을 누려라. - 지혜롭게 적응하라.
제4부 전략과 작전 13, 자기지도 글쓰기 - 열다섯 가지 훈련 14, 마르지 않는 창의성 훈련 창의성 훈련의 핵심요소 - 단순성, 규칙성(“하루 연습을 쉬면 내가 그것을 안다. 이틀을 연습하지 않으면 비평가들이 그것을 안다. 사흘 연습을 건너뛰면 관객들이 그것을 안다.”), 진지함(“내가 평생 이루고자 하는 일은 가장 진지한 질문을 가장 가벼운 형식으로 풀어내는 것이다.”), 정직(정직해야만 작업이 바라는 수준에 다다를 것이다.), 자기주도, 열정, 지금, 여기에 집중하기, 의식(의식을 집행하듯 경외심을 가지고 엄격하게 매 단계를 수행한다.), 기쁨, 훈련,(“좋은 작가가 되기 위해서는 나쁜 주인이 되어야 한다. 자기훈련과 체력은 작가의 병기고에 있는 두 가지 중요한 무기이다.” “거룩하게 되기 위해서는 작업에 헌신하는 길밖에 없다.”), 자기신뢰, 예술 우선주의, 창의성 훈련의 기본자세 - 주제와 깊은 사랑에 빠진다. - 주제에 대해 생각하고 그것에 대해 읽으며 꿈꾼다. - 그 주제만이 진리로 가는 길이라고 믿는다. 그 외에는 어떤 이유로든 다른 가설을 두지 않는다. - 어떤 교재가 주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면 원하지 않더라도 그 교재를 배운다. - 연구가 교착 상태에 빠진다면 쉽고 품위 있게 자리를 털고 일어난다. - 연구 자금을 얻기 위해, 그리고 그 연구를 계속하기 위해 필요한 세상의 일을 한다. - 공간을 들여다봐야 한다면 공간을 들여다보고, 신문을 열심히 들여다볼 필요가 있다면 그렇게 한다. - 매일 연구자로서 본질을 드러낸다. 그러나 모든 훈련에는 공통된 것이 있다. 바로 진지함과 절실한 목적의식 그리고 매일 열심히 하는 것이다.
15, 변화와 선택 9단계 변화 프로그램 - 1, 두려움을 깨고 질문하라. 2, 내면의 언어를 바꿔라 3, ‘또 하나의 삶’을 풍성하고 가치 있는 것으로 만들라. 4, 새로운 방식으로 인정받는 것을 계획하라. 5, 휴가를 내라. 6, 자신의 직업 상담가가 되어라. 7, 큰 소리로 말하라. 8, 감정에 주목하라. 9, 새로운 삶에 살라. 변화와 선택의 시나리오 - 인생, 그 선택의 과정 -
16, 평생 창의적으로 살기 창의적인 삶을 위한 10가지 아이디어 - 1, 반성하라(“지금 내가 원했던 창의적인 일을 하고 있지 않다면 왜 그런가?”) 2, 스스로 중요해져라. 3, 용서하라. 4, 인정하라. 5, 싸워라.(“나는 자신을 통제하고 있나? 그렇지 않다면 통제권을 얻기 위해서는 자신과 어떤 싸움을 벌여야만 할까?”) 6, 창조하라.(흥미롭고 가치와 의미가 있는 작품을 창조해야 한다. “나는 자신만의 작업을 하고 있는가?”) 7, 관계를 맺어라. 8, 행동하라.(“창의적인 삶을 위해 오늘 나는 어떤 행동을 할까?”) 9, 성공하라.(...단지 처한 현실 속에서 성공이 무엇인지 생각을 정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10, 희망하라.
문제의 중심에 접근하기 - 예술가가 직면하는 문제 - 론의 이야기 - 조앤의 이야기 - 콘수엘로의 이야기 - 마르지 않는 창의성을 위하여 - 나는 매일 하는 일을 할 것이며 항상 준비되어 있고(매일의 창의적인 방식으로) 매일 아침 눈뜨자마자 컴퓨터 앞에 가서 않는다. 이것이 ‘창의성 훈련’의 핵심이다. ===================================================== 매화 링크 http://blog.naver.com/jusin333?Redirect=Log&logNo=20153469656
http://sanmack3.blog.me/120155759228
http://blog.naver.com/PostList.nhn?from=postList&blogId=simjh0401&categoryNo=2¤tPage=29 심지향 조선선 http://choss.co.kr
=================================================== ‘고사 위기’ 토종매화를 지켜라 http://www.hani.co.kr/arti/society/area/525789.html
세계유명미술관 홈피
http://cafe.daum.net/mizzlle/JdMs/2?docid=1GMdF|JdMs|2|20120116190511&q=%B7%AF%BD%C3%BE%C6%C0%AF%B8%ED%B9%CC%BC%FA%B0%FC
오태진 더디피는 봄꽃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2/04/06/2012040602397.html
벚꽃명소 진해 여좌천 http://media.daum.net/culture/others/newsview?newsid=20120419025110757&cateid=1026 여의도 벚꽃 축제 http://media.daum.net/society/nation/metro/newsview?newsid=20120416001703399&cateid=100005
돈 들지 않는 10가지 부자 건강법 이시형 박사는 서울대 의대 교수, 환경부 환경홍보사절을 역임하고 현재 한국자연의학종합연구원에서 현대인의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세로토닌 운동을 펼치고 있다.
1. 매일 충분히 운동한다 운동을 안 하는 사람은 없지만, 중요한 것은 얼마나 움직이느냐다. 트레이닝복으로 갈아입고 헬스장 갈 여유가 없어 운동하기 어렵다면 생활 속에서 실천하면 된다. 실제로 건물 10층까지는 엘리베이터를 안타고 걸어 다닌다는 이시형 박사는 “출퇴근할 때 마을버스 안타고 지하철까지 걸어 다니고, 점심시간에 회사 밖에 있는 식당에서 식사하며, 오갈 때 계단을 이용하면 상당한 운동이 된다.”고 강조한다. 또, 운동할 때 콧노래를 부르며 즐겁게 하라고 충고한다. 이 악물고 힘들게 하면 스트레스가 돼 몸에 이롭지 않기 때문이다.
2. 음식을 천천히 자주 먹어라 천천히 먹으려면 준비가 필요하다. 비만을 관리한답시고 배고픈 것을 무조건 참으면 오히려 밥 먹을 때 빨리, 많이 먹게 된다. 허기질 때 바나나, 사과나 삶은 고구마를 껍질째 먹는 것을 추천한다. 만복중추가 자극돼, 당장 허기를 면하니 밥 먹을 때 천천히 적게 먹을 수 있다. 이시형 박사는 “한 입에 30번씩 씹고, 한 끼에 30분씩 식사하라.”고 권한다.
3. 원만한 인간관계를 유지한다 미국 하버드대 조지 베일런트 교수는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다른 사람과의 관계”라고 지적한 바 있다. 특히 47세 정도까지 형성된 인간관계는 이후의 인생을 예견하는 데 중요한 지표가 된다. 형제자매간 우애의 영향력도 크다. 그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65세까지 충만한 삶을 살았던 사람들 중 93%는 어린 시절 형제자매와 친밀한 관계였다고 한다. 반대로 어린 시절이 불우했던 사람에게도 방법은 있다. 행복한 결혼생활을 하면 충분히 보상받고 얼마든지 건강해질 수 있다.
4.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난다 늦게까지 깨어 있으면 꾸준히 먹기 때문에 비만이 될 확률이 높고 몸에 피곤함이 쌓인다. 잠은 쌓인 피로를 풀기 위한 것이다. 밤에 잠이 안 온다면 숫자를 세거나 음악을 듣는다. 골치 아픈 책을 읽는 것도 좋다. 일찍 자야 일찍 일어날 수 있다. 일찍 일어나면 아침에 쫓기지 않아 하루 컨디션이 상승하는 효과가 있다. 또 낮잠도 필요하다. 몸이 산뜻해져 자칫 나른해지기 쉬운 오후에 일의 능률을 올릴 수 있다. 그러나 우리는 누워서 낮잠을 잘 수 없는 환경인 경우가 많다. 이땐 푹신한 쿠션을 깔고 책상에 엎드려 새우잠을 자면 어느 정도 도움이 된다.
5. 평생 뇌를 계발한다 이시형 박사는 “무엇보다도 뇌가 건강해야 행복하게 장수할 수 있다.”고 말한다. 대뇌는 모든 신체 기관의 사령부다. 뇌는 아이 어른 할 것 없이 쓰면 쓸수록 자극받아 똑똑해진다. 뇌 계발을 위해 굳이 어려운 프로그램을 찾아볼 필요는 없다.
공부하는 뇌는 늙지 않는다. 가장 손쉬운 공부법은 책을 읽는 것이다. ‘아하!’하고 깨달은 게 있으면 책에 밑줄을 긋고, 저자한테 할 말이나 떠오르는 생각이 있으면 실컷 낙서한다. 이런 지적 활동이 중단되면 사람은 급격히 늙는다는 것을 명심한다. 은퇴한 사람이 하루아침에 늙은이가 된 듯한 인상을 주는 것은 이런 이유다.
6. 적극적으로 취미 활동을 만든다 취미 활동 그 자체로 몸이 이완되고 즐거우니 이롭지만 이를 더 크게 활용하는 법이 있다. 바로 생산적으로 연결시키는 것이다. 소설을 읽는 게 취미라면 어설프더라도 직접 소설을 써 본다. 기타를 배우기 시작했다면 동창모임에서 공연해 본다. 이시형 박사는 “해냈다는 성취감과 더 잘 해보고픈 즐거운 동기가 생긴다.”고 말한다.
7. 마음껏 감동하라 예술에 종사하는 사람이 잘 늙지 않는 까닭은? 이시형 박사는 감동을 잘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들에 핀 꽃 한 송이에 감동해 시 한 편을 만들고, 이웃이 흥얼거리는 콧노래에 감동해 작곡을 한다. 감동을 잘 한다는 것은 그만큼 뇌가 유연하고 탄력이 있다는 뜻이다. 딱딱하게 굳은 머리는 그런 섬세한 감동을 보이지 않는다. 감동하는 과정에서 행복 호르몬인 세로토닌이 분비되면 몸이 온통 밝아진다. 늙을 수가 없다.
8. 오랫동안 현역으로 뛰라 요즘 선진국에선 75세까지 현역으로 뛰어야 한다는 주장이 있다. 75세까지는 영올드(Young Old)라고 생각한다. 실제로 그 나이, 혹은 그 이상으로 왕성하게 일하는 노인이 많다. 톡톡 튀는 새로운 아이디어로는 젊은이를 앞서지 못하지만 지혜와 경험에선 얼마든지 경쟁력이 있다.
9. 스스로 자부심을 가진다 이제 쓸모없는 인간이라는 생각을 하게 되는 순간 기가 죽는다. 인생의 숱한 고비를 넘기고 살아 온 자신에 대한 자부심과 긍지가 있어야 한다. ‘나는 훌륭한 사람이다.’ ‘나는 필요한 사람이다.’는 생각을 하라. 비록 자만이어도 좋다. 그런 도도한 자세가 우리 몸에 활력을 준다.
10. 내 몸에게 감사한다 무릎이 시원찮으면 무릎에게, 허리가 아프면 허리에게 말을 걸어보라. 밤에 자기 전에 “그래, 너 오늘 참 애썼다.”고 쓰다듬어 준다. 신체 부위 중 특히 발에 감사하는 일은 빼놓지 않는다. 발은 맨 밑에서 무거운 몸을 떠받치며 이리저리 다니느라 고생하기 때문이다. 엄지손가락으로 주무르며, “수고했다, 고맙다, 조심할게, 잘 부탁해.”라고 말해준다.
이시형 박사는 “이 10가지 부자건강법은 아이러니하게 거의 돈이 들지 않는다.”며 “즐겁게 실천해 건강하게 오래 살자.”고 제안한다. 부자처럼 행복하게 장수하는 길, 당신의 선택에 달려있다.
이 시형 박사의 제안 [출처] 돈 들지 않는 10가지 부자 건강법 |작성자 파인트리
============================================== 외국계항공사 값싼 티켓 샀다가 `낭패' http://media.daum.net/economic/consumer/view.html?cateid=100020&newsid=20121031060809066&p=yonhap
연필로 물방울 극사실화가 http://etv.donga.com/VIEW/?idxno=201210280053126&category=004
겨울서핑-송정 https://www.youtube.com/watch?v=Vd_2JTDK3WM&feature=youtube_gdata_player
|
Gustbook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