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thor |
KCH |
Date |
2021-02-11 12:25:51 |
|
Title |
Recent Works 역동의 물결 강남 |
|
2020-fa1, 역동의 강남 Wave the dynamic in Gangnam, Oil on linen 53x145.4cm 20P 연작 2020-fa2, 역동의 강남 Wave the dynamic in Gangnam, Oil on linen 53x145.4cm 20P 연작
Wave the Dynamic in Gangnam, Seoul – Kindness & Open mind 역동의 물결 강남 – 친절과 열린 마음
아래글은 2022발간 예정인 'World Art Journey 세계미술여행'의 국내편 중 일부! This article is a part of 'World Art Journey' which will be publish in 2022..
도심 한복판에서 그림 그리는 것은 자연과 비교하면 많은 것이 다르다. 분주히 오가는 사람들, 빌딩숲의 화려한 불빛, 질주하는 자동차 물결은 흥겨운 축제 같다. 그림의 필력은 경쾌해지고 속도감과 움직임이 강조된다. Painting in the center of the city is different in many ways with painting in nature. Busy working people, the glorious lights of the building forest, and the waves of sprinting cars are like a festival. My paintings become more dynamic and the speed and movements are emphasized.
도심에서 작업하기 어려운 점은 각종화구를 현장으로 옮기는 것과 건물관계자의 태도에 따라 즐겁기도 하고 작업을 포기하기도 한다. There are some difficulties painting in the city. You need to move various materials to the site, and there is a possibility of giving up painting depending on the attitude of the people who’s managing city buildings.
몇 일전 서울 강남 논현대로에서 캔버스를 펼치고 약 10일간 작업했다. 처음 캔버스를 펼친 곳은 세계적 명품 가게들이 즐비한 청담동 거리였다. 럭셔리한 건물과 쇼윈도의 인상적인 디자인이 눈길을 끌었지만 작업 첫날 그림을 포기할 수밖에 없었다. Few days ago, I painted Gangnam Nonhyeon Street in Seoul for about 10 days. The first site I put the canvas was in Cheongdam-dong, where world-luxurious stores are lined up. The striking design of the gorgeous building and shop windows caught my eyes, but I had no choice but to give up at the very first day of work.
이유는 한참 작업에 몰두할 때 건물 매장 직원 여러 명이 내 앞에 다가와서 “곧 회장님이 오시니 다른 곳으로 가라”고 했다. 어이가 없어서 이곳 인도가 당신들 땅이냐고 하자 “그렇다”고 했다. 그래서 서울시청/경찰청에 이곳 인도가 당신들 땅이 맞는지 또 내가 이곳에서 작업하 것이 잘못됐는지 확인하겠다고 했다. The reason is that after focusing myself in the work for a while, several store staff members of the building approached to me and said, "You must go somewhere else Immediately, our chairman is visiting." I was speechless and I asked weather they own this street. The answer was “Yes.” I had no idea what is going on so I told them I am going to report this happening to Seoul City Hall and Police Agency because certainly the street is public space.
사실 도로에서 그림 그릴 때 최대한 통행에 방해되지 않게 신경 쓴다. 그래서 가로수 옆 화단에 화구를 펼쳤는데 건물주(회장)이 출근할 때 내가 주변에 있는 것이 눈에 거슬린 모양이다. 계속 불편한 이야기가 오가면서 붓을 내릴 수밖에 없었다. 잠시 후 고급 자동차가 건물 앞에 멈추고 잠옷차림 같이 옷을 대충 걸친 청년이 차에서 내리자 직원들 모두 허리를 굽히면서 함께 건물로 들어갔다. In fact, when I am painting on the street, I try to be extra careful not to block traffic as much as possible. That's why I put the canvas next to the tree. But I am sure the owner of the building felt uncomfortable that I am around their building. Building staffs kept asked me to move so I had no choice but to pack my materials back. After a while, a luxury car stopped in front of the building, and young man with casual clothes got off. They bent over to that young man simultaneously and entered to the building together.
럭셔리한 청담동 명품거리는 가장 불편한 거리로 기억 남는다. This luxurious Cheongdam-dong street became the most uncomfortable memory in my mind.
두 번째 캔버스를 펼친 곳은 논현대로 였다. 약 1km 넓은 도로에 즐비한 세계적 명품 자동차 매장들이 이어져 있다. 그래서 이전부터 이곳에 관심이 많았다. 여러 매장을 한눈에 볼 수 있는 두 곳에 자리 잡았고 처음부터 끝까지 기분 좋게 작업했다. 그 중 한곳은 거리 모습도 멋졌지만 편안하게 그림 그릴 수 있도록 도와준 건물 회장. 회사 팀장, 경비원, 일반 직원들의 애정 어린 마음이 감동이었다. My second painting place was Nonhyeon Street. Many luxurious car stores are lined up about 1km on a wide road. That's why I've always been interested in it. I set two place so I could see multiple stores at one glance, and worked comfortably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Not only for the nice cityscape, but warm heart of the chairman of the building, company manager, security guards and general employees who helped me to draw comfortably.
사실 건물 출입구 바로 앞에서 캔버스를 펼치는 것은 청담동 인도 옆 화단에서 그릴 때보다 더 민감한 곳으로 건물주/직원들의 베려가 없으면 불가능하다. 세련된 복장의 건물 회장은 청담동 명품거리 회장과 대조적이었고 직원들의 태도도 반대였다. In fact, putting the canvas right in front of the building doorway would not be possible without the building owner or employee’s thoughtfulness. The sophisticatedly dressed chairman of the Nonhyeon building was in contrast to the chairman of Cheongdam-dong building and the attitude of the employees were also the opposite.
논현대로에서 연작 두 점을 완성하고 마지막 날 국산 자동차 매점을 찾았다. 인상적인 매장외관에 이끌려 전시장을 둘러본 뒤 전시 담당 직원을 만나 질문했다. . After completing two series of works on Nonhyeon Street, I visited a domestic car store on the last day. After being attracted to the impressive appearance of the store, I met the store staff and asked a question.
즉 그 매장회사의 자동차를 3대째 이용하고 있는 애호가로서 이렇게 멋진 매장과 자동차를 배경으로 그림 그리고 싶은데 그림그릴 때 도움을 받을 수 있을지 또 그 결과물을 건물 내 매장 전시장에 전시 할 수 있을지 질문하자 담당 직원은 “자신은 전시결정이 내려오면 진행할 뿐이다”고 했다. As an enthusiast who is using the car of the company for three tims, I asked to get some help to paint a nice store and car for the background. Also I asked if by any chance, I can exhibit my works at the exhibition hall. The staff in charge said, "I only proceed the exhibition when decision is delivered." Which mean he has no control of exhibition.
그래서 전시결정을 하는 담당자 혹은 부서를 알 수 없을지 혹은 홈페이지나 이-메일을 통해 전시 계획서를 제출할 정보를 알 수 없을지 물으며 명함을 건네자 “답해줄 수 없다. 자신들이 알아서 할테니 나중에 필요하면 연락하겠다, 이렇게 직접 찾아와 말하는 경우는 처음이다”고 했다. So I handed my business card asking if he can let me know which person or department are in charge of managing the exhibition so I can submit the exhibition plan via the homepage or this email. He said " I can’t answer that, we will contact you later if necessary. This is the first time who come and say directly. "
도도한 한 국산자동차 전시담당 직원의 태도에 계속 그 국산 자동차를 이용해야할지 회의가 들었다. 씁쓸한 아음으로 발걸음을 돌리며 매장 주변 해외 자동차 매장 안에서 고객들과 상담하는 모습을 보면서 얼마 전 뉴스에 코로나로 경제가 심각하지만 해외 자동차 수입과 판매가 엄청 늘었다는 기사가 떠올랐고 건물 주변 대형 스크린의 해외 자동차 광고가 시선을 끌었다. Because of his attitude, I questioned myself “should I keep using that car company?.” I stepped outside and saw people who are consulting with customers in foreign car stores. A while ago I saw in the news that the economy got serious due to Corona, but the import and sales of foreign cars increased significantly. And I walked down the street with Large-screen advertising foreign car around the building.
국내와 해외 현장에서 캔버스를 펼치고 그림 그릴 때 친절하고 열린 마음을 가진 분들을 만나면 천국과 같다. 나는 앞으로도 계속 천국을 찾아 머나먼 그림 여행을 떠난다. It's like heaven when I meet people who are kind and open-minded while painting around the world. Today, I continue to find heaven and go on a long journey.
< 중앙고 백서 질문지 – 6회 김창한 >
1, 재학시절 나의 모습, 생각나는 선생님 -> 그림에 몰두한 평범한 학생이었다. 성적은 매우 좋기도 했지만 미술부로 학교행사나 실기대회로 자주 수업을 빠질 때는 종종 나빠서 중간으로 졸업했음.
-> 첫째, 남들이 뭐래도 내겐 잘 해주신 미술선생님(전성진). 미술과 삶에 대해 많은 이야기를 들려주셨고 부족한 부분은 곧바로 지적해 주는 등 매우 솔직하고 적극적인 모습이 오래 기억에 남음. 술을 잘 드시고 자유분방한 모습과는 반대로 건강관리에 철저한 모습은 좋은 기억으로 남음. 둘째, 졸업할 때 돌아가신 화학/물리 선생님(이름?)으로 해병대 출신 건장한 체구로 자주 밤새 술을 마셔도 다음날 수업하던 씩씩한 모습이 인상 깊었는데 어느 날 갑자기 암으로 급격히 몸이 쇠약한 뒤 돌아가시던 모습은 충격이었음. 셋째, 수학선생님(김호문) 매우 마른체형으로 안경을 쓰셨는데 가장 재미없는 수학시간을 재미있는 말투와 유머로서 늘 그 선생님 시간을 기다렸음
2, 현재까지 하는 일과 걸어온 길 한평생 그림과 함께 했다. 어릴 때부터 그림을 좋아했고 재능을 보였다. 중학교 때 가족의 초상화를 그렸는데 너무 잘 그렸다고 좋아하던 부모님 모습이 떠오른다. 무엇보다 그림 그릴 때가 가장 즐거웠고 지금까지도 가장 행복한 시간이었다. 중학교/고등학교 시절 미술선생님의 꾸준한 관심과 지도를 받은 것이 큰 도움이 되어 홍익대학교 미술대학과 대학원 서양화를 졸업 했다. 학교 졸업 후 꾸준히 작품활동 했지만 돈을 벌기위해 처음엔 미술학원과 여러 대학교에서 학생을 지도했다. 1995년부터 울산예술고등학교 미술교사로 23년간 근무하며 작품활동을 병행했다. 정년을 8년반 남기고 작품에만 전념하기 위해 2018년 2월 명퇴했다. 이후 년 중 절반은 해외 나머지는 국내에서 작품 활동을 이어가고 있음. 현재 호주, 미국, 미얀마, 중국, 유럽 등 해외 약10개 국가와 교류하고 있고 꾸준히 확대되고 있음. 작업은 대부분 현장에서 그리기에 국내와 해외 다양한 곳을 이동하며 작업함.
자세한 내용은 www.kch.pe.kr 20년째 운영하는 개인홈페이지에서 모든 것을 볼 수 있음.
3, 삶의 태도와 가치관, 일의 보람과 성취감 -> 성실한 자세로 진실된 모습으로 순수한 마음을 잃지 않으려고 함. 꾸준히 한길을 걸어감으로써 일과 삶의 보람이 큼.
4, 고교 동창들과의 만남/모임 -> 재울 동문회에서 동문과의 만남을 이어오고 있고, 개인적으로 오랜 세월 지내온 동창들도 몇 명 있음.
5, 중앙고 3년의 의미 -> 직업인이자 자유인이 되기 위한 중요한 시간이었고, 같은 교복 함께했던 교정에서의 순수했던 나의 모습을 오래오래 기억해 줄 소중한 인연.
6, 100세 시대 인생후반부 계획 -> 지금까지의 작품활동을 더욱 심화 발전시키면서 즐겁고 건강하게 살려고 함. 특히 그림을 통해 다양한 외국인과의 만남은 삶에 큰 즐거움과 보람을 갖게 함. 지속적으로 현지의 다양한 사람들과의 교류로 지구촌이 얼마나 흥미롭고 재미있는 곳인지 피부로 느낌, 이런 삶은 놀이로만 끝나는 것이 아니라 계속 생산적인 것을 만들면서 삶의 가치를 높이려고 함.
7, 통합제일고동창회에 대하여 -> 솔직히 특별한 교류가 없었기에 다소 서먹하지만 추억을 공유하면서 동창회와 학교 그리고 지역사회 발전을 기원함.
|
Gustbook |
|
|
|